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

매화관련 한시 2수(왕안석, 왕유,王安石 王維 漢詩 二首) 우수도 경칩도 머언 날씨에 그렇게 차가운 겨울인데도..한해를 이틀앞둔 겨울의 정점이지만 포근한 햇살로 살짝 봄기운이 느껴진다. 세모의 정이 넘쳐나는 요즘 나이 한살 더하는 두려움 보다 매화핀 소식이 그리워진다. 매화는 寒苦의 시련을 견뎌내며 눈속에서도 꽃망을을 터트리는 雪中梅와 같이 타향에서 忍苦의 세월을 견디며 살아가는 이들에게도 따뜻한 고향의 소식을 매화를 보면서 시름을 달랬으리라, 매화와 관련된 한시 2수를 자서해 보았다. 왕안석과 왕유는 앞서 遊鐘山과 藍田山石門精舍에서 언급하였기에 생략도록 하겠다. 매화(梅花) - 왕안석(王安石) 墻角數枝梅(장각수지매) 담장 모퉁이에 몇 가지에 핀 매화여 凌寒獨自開(릉한독자개) 추위를 무릅쓰고 홀로 피었네. 遙知不是雪(요지불시설) 멀리서 봐도 눈이 아님을 알겠으니.. 더보기
정호 추일우성(程顥 秋日偶成) 정호(程顥.1032~1085) 字는 백순(伯淳). 호는 명도선생(明道先生) 宋나라 때의 대유학자이다. 명도선생의 추일우성(秋日偶成)은 서예인들이 즐겨쓰는 문장으로 한 구절을 자서해 보았다. 추일우성(秋日偶成: 가을날 우연히 이룸) - 정호(程顥) 閑來無事不從容(한래무사부종용) 한가로움 찾아와 매사에 마음 차분하지 않은 일 없고 睡覺東窓日已紅(수각동창일이홍) 아침에 눈 떠보면 동창은 이미 밝았는데 萬物靜觀皆自得(만물정관개자득) 만물을 고요히 살펴보면 모두가 스스로 터득되고 四時佳興與人同(사시가흥여인동) 사철마다의 좋은 흥취 누구에게나 같구나 道通天地有形外(도통천지유형외) 천지를 도통하니 형체 없는 것에까지 미치고 思入風雲變態中(사입풍운변태중) 모든 것 자연의 섭리 안에 있음을 알 때 내 마음 달관된다. 富.. 더보기
유장경 봉설숙부용산(劉長卿 逢雪宿芙蓉山) 유장경(劉長卿. 710~785?) 은 중당(中唐) 시인으로 자는 문방(文房)이다. 그의 대표적인 시 봉설숙부용산(逢雪宿芙蓉山 : 눈을 만나 부용산에서 묵다)과 崔北(1720~ ? )의 풍설야귀인도와 함께 시정(詩情)을 느껴보고자 한다. 최북의 자는 이름 북(北)자를 둘로 나눈 칠칠(七七)이라고 했으며 대담하고 파격적인 기행으로 조선 후기 회화사에 큰 획을 남긴 인물이다. 풍설야귀인도의 화제(畵題)가 되어 멋진 조화를 이룬 작품으로 청빈함과 함께 긴 여운이 남는 시다. (崔北 : 風雪夜歸人 圖) 봉설숙부용산(逢雪宿芙蓉山:눈을 만나 부용산에서 묵다) - 劉長卿 日暮蒼山遠(일모창산원) 해는 저물고 푸른 산은 멀어지는데 天寒白屋貧(천한백옥빈) 추운 날씨 가난한 오막살이 한채 柴門聞犬吠(시문문견폐) 사립문 개 짖.. 더보기
왕유 남전산석문정사(王維 藍田山石門精舍) 왕유(王維. 699? ~ 759)는 중국 당나라를 대표하는 시인이다. 자가 마힐(摩詰)이며, 산서성(山西省) 기현(祁縣)사람이다. 비록 사대부 집안에서 성장했지만 어려서부터 불교 사상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 그는 시선(詩仙)이라고 불리는 이백(李白, 701~762), 시성(詩聖)이라고 불리는 두보(杜甫, 712~770)와 함께 중국의 서정시 형식을 완성한 3대 시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또한 음악과 회화에도 능해 그림 같은 시를 쓰고 시 같은 그림을 그렸으며, 현재 약 400여 수가 전해지고 있다. 왕유는 화가적인 관찰로 산수를 바라본 후, 자연스러운 시어로 화면을 재구성하는 독특한 시각적인 시를 지었다. 산수시는 언제나 아늑한 고요함을 지녔으나 동(動)을 통한 정(情)의 세계를 표출했다. 그의 대표적.. 더보기
서경덕 독서유감(徐敬德 讀書有感 : 책 잃는 감흥) 화담 서경덕(花潭 徐敬德. 1489~1546) 조선 중종시대 거유(巨儒)이자 대철학자(大哲學者)이다. 호는 화담(花潭), 복재(復齋) 자는 가구(可久)이며,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송도(개성)에서 태어나 송도삼절(松都三絶 : 황진이, 박연폭포, 서화담)로 유명하다. 어려서부터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고 지식을 쌓는데 몰두하였으며 벼슬은 하지 않았다. 송도의 화담 서재에서 자연을 벗 삼아 진리탐구에 헌신하여 당시 사림파(士林派)의 종장(宗匠)이요 기호파(畿湖派)의 선구자였다. 선조 때 右議政(우의정)에 추증되었으며, 문집에 화담집(花潭集)이 있고 그 속에 원리론(原理論), 이기론(理氣論), 태호설(太虛說), 귀신생사론(鬼神生死論) 등의 글이 있다. 여기 소개하는 徐花潭의 독서유감은 道學者로서의 높은 인격과 .. 더보기
허목 시 일수(許穆 詩 一首) 설후영척(雪厚盈尺) 허목(許穆, 1595~1682)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다.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자(字)는 문보(文甫)·문부(文父)·화보(和甫), 호(號)는 미수(眉叟),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아래 시는 허미수(許眉叟) 시로 알려져 있다. 교훈적 요소가 많이 담겨있어 예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雪厚盈尺(설후영척) 한자 이상 쌓인 찬 눈 속에 問足物何(문족물하) 문안으로 족한데 웬 물건인가? 毛可米否(모가미부) 붓은 허락하나 쌀은 아니 된다 可留否送(가유부송) 붓은 남겨두고 쌀은 돌려보내노라. 혹한 속에 찾아온 제자의 성의에 정성만 받아들이는 스승의 삶이 청빈함을 더한다. 더보기
도연명 귀거래사(陶淵明 歸去來辭) 도연명의 귀거래사는 유명인사가 이임 시한 구절을 인용하기도 하고 세사(世事)에 시든 몸과 마음의 안식처를 찾아 전원으로 돌아 감을 갈구하는 이들에게 가슴에 와 닫는 시다. 도연명에 대하여는 앞서 "도연명의 음주"에서 간단하게 소개되었기에 참고 바라며, 귀거래사 서두 일부를 黑紙에 銀墨으로 自書해 보았다. 귀거래사(歸去來辭) 도연명(陶淵明 365~427) 歸去來兮(귀거래혜) 자, 돌아가자. 田園將蕪胡不歸(전원장무호불귀) 전원이 장차 황폐해지려 하는데 어찌 돌아가지 않으리. 旣自以心爲形役(기자이심위형역) 지금까지는 고귀한 정신을 육신의 노예로 만들어 버렸다. 奚惆悵而獨悲(해추창이독비) 어찌 홀로 근심하고 슬퍼만 할 것인가. 悟已往之不諫(오이왕지불간) 이미 지난 일은 탓해야 소용없음을 깨달았다. 知來者之可追(.. 더보기
김상헌 등만월대(金尙憲 登滿月臺) 김상헌(金尙憲, 1570~1652년)은 조선 중·후기의 문신, 학자이다. 병자, 정묘호란 시 척화신(斥和臣)으로 이름이 높았다. 본관은 (安東), 자는 숙도(叔度), 호는 청음(淸陰), 석실산인(石室山人),시호는 문정(文正)이다. 병자호란 때 예조판서 김상헌에 맞섰던 이는 호조판서 지천(遲川) 최명길(崔鳴吉 .1586~1647)이었다. 둘은 전혀 다른 방책을 주장했다. 청음은 선전후화론(先戰後和論)을 강력히 주장한 주전파였고 지천은 청나라 진영을 오가며 화의에 앞장선 주화파였다. 두 충신을 통해 국란이 수습되는 과정은 후대에 많은 교훈을 남겼다. 그가 청나라에 불모로 6년간 잡혀 가기 전 지은 시 "가노라 삼각산아.."는 그때의 심정을 느낄 수 있기에 충분하다. 가노라 삼각산(三角山)아, 다시 보자 한강.. 더보기
서산대사 오도송(西山大師 悟道頌), 이양연 야설(李亮淵 野雪) 서산대사(1520~1604)는 조선 선조 때 고승(高僧)으로 속성은 최 씨, 1520년(중종 15) 평안도 안주(安州)서 태어났다. 호는 청허(淸虛), 법명(法名)은 휴정(休靜)이다. 묘향산에 오래 머물었기에 서산대사(西山大師)라 칭한다. 부처님은 새벽에 샛별을 보시고 홀견명성득오도(忽見明星得悟道)하였다고 한다. 서산대사는 새벽에 울어야 할 닭이 난데없이 한낮에 우는 소리를 듣고서 응어리였던 '무(無)'자 화두의 칠통(漆桶)을 깨부수고 은산철벽(銀山鐵壁)과 같은 조사의 관문을 경절(徑截)하고서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게송으로 읊었다. - 서산대사 오도송(西山大師 悟道頌) 발백비심백(髮白非心白) 머리는 백발이었어도 마음은 희지 않았다고 고인증누설(古人曾漏洩) 옛사람이 일찍이 말했네. 금문일성계(今聞一聲鷄) .. 더보기
왕희지 난정서(王羲之 蘭亭序) 왕희지의 난정서는 서예를 입문하는 분이라면 누구라도 행서(行書)의 교본으로 삼는다. 당대(唐代)에 임서한 신룡본 모본(아래사진)을 주 교본으로 활용하는데.. 모본이지만 진본(?)에 비견될 수 있는 품격을 갖추고 있어 진본에 대한 신비성을 더하고 있다. 아래 일부 편집한 내용은 실크로드라는 필명을 쓰시는 분의 자료를 참고하였다. 깊이 있는 내용과 풍부한 자료를 근거하였기에 왕희지와 난정서에 대한 이해를 구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리라 확신한다. 왕희지(王羲之 303~361. 東晉시대) 서성(書聖)으로 일컬어지는 중국 최고의 서예가(書藝家)로, 자는 일소(逸少)이고 낭야(瑯邪) 지금의 산둥성(山東省) 린이현(臨沂縣) 사람이다. 아버지 왕광(王曠)은 동진(東晉) 건국에 공을 세운 왕도(王導)의 사촌동생이 된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