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

이서구 독서송근상(李書九 讀書松根上) 이서구의 시로 만자백운계 부지서강구 소와송음하작(晩自白雲溪 復至西岡口 少臥松陰下作 : 저녁 무렵 백운계에서 다시 서강 입구에 이르러 잠시 소나무 그늘에 누웠다가 지은 시) 중 한 詩句를 자서해 보았다. 이서구(李書九 1754~1825)는 시에 능해 이덕무(李德懋), 유득공(柳得恭), 박제가(朴齊家)와 함께 사가 시인(四家詩人)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본관은 전주, 자는 낙서(洛瑞), 호는 척재(惕齋)·강산(薑山)·소완정(素玩亭)·석모산인(席帽山人), 1774년(영조 50) 정시문과에 급제한 뒤 사관을 거쳐 지평·초계문신에(持平抄啓文臣) 선발되었고, 1786년 홍문관(弘文館)에 들어갔다. 모역사건(謀逆事件)과 천주교도를 옹호한다는 죄로 한때 유배되었으나, 다시 등용되어 대사성, 대사간, 이조판서, 호조판서.. 더보기
유장경 송영철상인(劉長卿 送靈澈上人) 중국 중당(中唐) 시대의 시인 유장경(劉長卿)의 시로 제목은 송영철상인(送靈澈上人 : 영철 스님을 배웅하며)으로 해 질 무렵 죽림사로 들어가는 영철상인을 송별하는 시이다. 죽림사는 지금의 장쑤성(江蘇省) 전장(鎭江)에 있는 사찰로 영철 상인이 행각을 나와 묵던 곳이다. 유장경의 시답게 정교하고 치밀한 구상과 깨끗하게 다듬어진 언어로 눈앞의 경치를 묘사함으로써 감정을 절제하여 드러내고 있어 여운이 많이 남는 시를 행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송영철상인(送靈澈上人 : 영철 스님을 배웅하며) - 유장경(劉長卿) 蒼蒼竹林寺(창창죽림사) 창창한 산속의 죽림사 杳杳鐘聲晩(묘묘종성만) 아득히 들려오는 저녁 종소리 荷笠帶斜陽(하립대사양) 삿갓 등에 메고 노을빛 석양 등지며 靑山獨歸遠(청산독귀원) 저 멀리 청산으로 홀로 돌.. 더보기
주희 권학시(朱熹 勸學詩) 앞에서 언급한 주희의 권학시(勸學詩 : 학문을 권하는 시) 한수를 자서해 보았다. 매일 꾸준히 걸어가는 노인의 걸음을 통해서 한달이면 능히 천리를 간다는 놀라운 결과를 가져오니 후학들도 이 이치를 알아서 쉬지 말고 학문에 정진하라는 교훈이 담긴 시이다. 休林坐石老人行(휴림좌석노인행) 숲 속 나무 아래 돌에 앉아 쉬고 있는 노인의 행적이 三十里爲一日程(삼십리위일일정) 삼십리가 하루길의 과정이지만 若將一月能千里(약장일월능천리) 만일 한 달이면 능히 천리를 당도하니 以老人行戒後生(이노인행계후생) 이 노인의 행적을 후생들은 경계하고 본받아야 한다. 더보기
주희 우성(朱熹 偶成) 송나라의 대유학자로서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자(朱子)의 주문 공문 집(朱文公文集)권 학문(勸學文)에 나오는 시의 첫 구절로 우리에게 친숙한 시다. 제목은 우성(偶成 : 우연히 시를 이루다)으로 사방이 새싹으로 돋아나는 요즘 어울리는 시를 자서해 보았다. 소년이노학난성(少年易老學難成) 소년은 쉽게 늙고 학문은 이루기 어려우니 일촌광음불가경(一寸光陰不可輕) 순간의 짧은 시간도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 미각지당춘초몽(未覺池塘春草夢) 연못가의 봄풀이 채 꿈도 깨기 전에 계전오엽이추성(階前梧葉已秋聲) 계단 앞 오동나무 잎이 이미 가을을 알리네 더보기
일근천하무난사 백인당중유태화 (一勤天下無難事 百忍堂中有泰和) 이 글귀는 중국 속담에서 유래된 듯하다. 며칠 전 처조카 결혼식 때 손위 동서가 신랑 신부에게 덕담으로 건넨 내용으로 25여 년 전에 내가 직접 써준 글을 표구하여 아직도 잘 간직하며 있다 하니 일면 쑥스럽기도 하다. 기회 되면 다시 써서 표구하여 드리고 싶다. 새롭게 가정을 이룬 신혼부부가 새겨들어야 할 교훈적 내용이라 그 당시 심정으로 다시 자서해 보았다. 일근천하무난사(一勤天下無難事 ) 한번 부지런하면 천하에 어려운 일 없고 백인당중유태화 (百忍堂中有泰和) 백번 참으면 가정에 큰 평화가 찾아온다 더보기
두목 청명(杜牧 淸明) 당나라 말기 시인인 두목(杜牧)은 앞서 산행(山行)에서 언급하였기에 생략토록 하겠다. 양력 사월 초순경 맞이하는 청명은 24절기 중 가장 봄기운이 완연한 절기이다. 만물이 소생하고 사방이 연초록으로 물들어갈 즈음에 어울리는 한시를 행서로 자서해 보았다. 청명(淸明) 淸明時節雨紛紛(청명시절우분분) 청명 시절에 비가 부슬부슬 내리니 路上行人欲斷魂(노상행인욕단혼) 길 가는 행인의 마음 들뜨게 하네. 借問酒家何處在(차문주가하처재) 주막이 어느 곳에 있는가 물으니 牧童遙指杏花村(목동요지행화촌) 목동이 살구꽃 핀 마을을 가리키고 있네.. 더보기
이사열전(李斯列傳) 태산불양토양(泰山不讓土壤) 하해불택세류(河海不擇細流) 중국 사기 이사열전(史記 李斯列傳)에 나오는 글귀이다. 이사(李斯)는 진시황이 6국을 통일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 인물이다. 모략과 정책에는 탁월했지만 명리를 쫓았고 신의를 져버려 결국 자신의 몸을 망치고 말았다. 그는 중국 역사상 뛰어난 정치모략가로 모두가 인정하고 있다. 이 글귀는 이사가 훗날 진시황이 되는 정왕(政王)에게 모든 외국인 관리(賓客빈객) 추방의 부당함을 간언한 글을 이사의 간축객서(李斯 諫逐客書)라 하는데 그 내용 중 일부 문구를 예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泰山不讓土壤(태산불양토양) 태산은 작은 토양도 사양하지 않고 能成其大(능성기대) 능히 그 큼을 이루고 河海不擇細流(하해불택세류) 하해는 실개천도 가리지 않고 받아들여 能就其深(능취기심) 능히 그 깊음을 이룬다. 태산과 바다는 작은 흙과.. 더보기
이백 산중문답(李白 山中問答) 중국 성당기(盛唐期) 시인 이백(李白)의 한시 중 많이 회자되고 있는 산중문답을 자서해 보았다. 곧 삼월이 지나가고 4월이 오면 복사꽃 흐드러지게 필 때쯤 한번 읊어보고 싶은 시다. 산중문답(山中問答 : 산에 살며 묻고 답하다) - 이백(李白) 問余何事棲碧山(문여하사서벽산) 묻노니, 그대는 왜 푸른 산에 머물려 하는가 笑而不答心自閑(소이부답심자한) 웃으며 답 없기를 마음 스스로 한가로울 뿐 桃花流水杳然去(도화유수묘연거) 복사꽃 물에 띄워 아득히 흘러가니 別有天地非人間(별유천지비인간) 인간이 살지 않는 별천지 세상 이라네.. 복사꽃 향연 더보기
이달 시 2 수 불일암증인운석, 호운(李達 詩 2首 佛日庵贈因雲釋, 呼韻) 이달(李達. 1561~1618) 조선 중기 선조(宣祖) 때의 한시인(漢詩人)이다. 본관은 신평(新平)이고, 자는 익지(益之), 호는 손곡(蓀谷)이며, 동리(東里)·서담(西潭)이라고도 한다. 충청남도 홍주(지금의 홍성)에서 매성공(梅城公) 이기의 후손인 이수함(李秀咸)과 홍주 관기 사이에서 태어났다. 한시의 대가로 문장과 시에 능하고 글씨에도 조예가 깊었으나, 신분적 한계로 벼슬은 한리학관(漢吏學官)에 그쳤다. 어려서부터 책 읽기에 힘써 이백(李白)과 성당십이가(盛唐十二家)의 작품들을 모두 외울 정도였다. 시문에 뛰어난 정사룡(鄭士龍)과 박순(朴淳) 등의 문인(門人)으로, 특히 당시풍(唐詩風)의 시를 잘 지어 선조 때의 최경창(崔慶昌)·백광훈(白光勳)과 함께 삼당파 시인으로 이름을 떨쳤다. 그의 대표적인 .. 더보기
맹자 왈 궁불실의 달불이도(孟子 曰 窮不失義 達不離道) 급변하는 세태변화와 함께 물질주의에 물들어 가는 현세대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 소양이 급격히 퇴색되어 가고 있다. 구고심론(求古深論)이란 옛것의 좋은 점을 심도있게 논의하여 새로움을 발견하고 배우고자 하는 뜻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번 쯤 새겨들어야 할 내용이 있어 자서한 글과 함께 그 뜻을 살려보고자 한다. 유가의 선비정신은 의(義)를 실현하고 지조를 지키는 꼿꼿함이라든가 아무도 보지 않는 곳에서조차 흐트러지지 않는 위용 등으로 표현되지만 그 바탕에는 공손함과 검소함이 있다. 공손함과 검소함이 몸에 밴 사람은 남을 존중할 줄 알며 정도를 넘지 않는다. 그래서 孟子는 선비를 두고 “곤궁해도 의를 잃지 않으며, 성공해도 도를 떠나지 않는다.(窮不失義 達不離道)”라고 하였으며, 또한 “공손한 사람은 남을 업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