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

선자덕성 발도가 어부송( 船子德誠 撥棹歌 漁父頌) 어제는 한낮 최고기온이 36도까지 올랐다. 혹서의 절정으로 구름 한 점 없는 하늘이 야속하다.오늘도 어김없이 이른 새벽 6시에 출발하여 영종에 있는 백운산(255m) 정상을 향하는데 쉬지않고 오르면 약 25분이 소요된다. 정상에서 맞이하는 시원한 바람이 나를 반기며 정면에는 인천공항 활주로와 좌측의 인천대교, 우측에는 강화도가 오늘따라 선명하게 다가온다. 어제는 백운사(白雲寺)는 안내표시가 있어 찾아가 보니 아담하고 소박한 작은 사찰이 편안한 장소에 터를 정하여 남향을 향해 있다. 사찰을 관리하는 노인에게 여쭤보니 약 75년전에 세워진 사찰로 스님 한 분이 주석하고 있다고 하며 마당 앞에는 큰 화분에 연꽃 이 피어있어 아름다운 사찰의 면모를 잘 간직하고 있다. 대웅전 편액은 일붕 서경보(一鵬 徐京保)의 .. 더보기
위응물 기전초산중도사, 기찬율사(韋應物 寄全椒山中道士, 寄璨律師) 아침마다 오르는 새벽 산행 길 옆으로 많은 버섯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장마철 습한 토양에서 돋아나는 여러 가지 빛깔과 모양의 버섯들은 갑자기 나타났다가 쉽게 사라지기 때문에 옛날부터 사람의 눈길을 끌어 고대 사람들은 땅을 비옥하게 하는 ‘대지의 음식물’ 또는 ‘요정(妖精)의 화신(化身)’으로 생각하였으며 수많은 전설이 남아 있다. 또한 버섯은 그 독특한 향미로 널리 식용되거나 또는 약용으로 하는가 하면 목숨을 앗아가는 독버섯으로 두려움을 받기도 하였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인들은 버섯의 맛을 즐겨 ‘신(神)의 식품’이라고 극찬하였다고 하며, 중국인들은 불로장수(不老長壽)의 영약(靈藥)으로 진중하게 이용하여 왔다. 세상에는 2만여 종의 버섯이 있는데 먹을 수 있는 것은 1,800여 종에 불과하다고 한다. .. 더보기
위응물 동교(韋應物 東郊) 연일 장마철답게 고온 다습한 날씨가 지속되고 있어 조금만 움직여도 등 줄기에 땀이 흐른다. 만물의 영장(靈長)이라고 하는 인간은 진화의 과정을 밟으며 오늘에 이르렀는데 그 과정을 살펴보면 직립보행이 가능해지면서 자유로워진 양손의 활용성이 높아짐에 따라 창이나 활을 지니고 어떠한 동물도 모두 사냥할 수 있는 최고의 위치에 서면서 만물의 영장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수 십 Km를 쉬지 않고 사냥할 수 있는 능력은 달리면서 체온이 상승할 때 도움이 되지 않는 털은 퇴화되었고 그 대신 땀샘의 발달로 땀이 피부 표면으로 배출되면서 체온 조절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 변화에 적응하면서 필요성이 낮아진 털은 머리, 눈썹, 겨드랑이만 남기고 나머지는 털이 없는 맨 살로 진화되었다. 머리털은 체온유지에 도.. 더보기
위응물 임락양승청고(韋應物 任洛陽丞請告) 영종에 주석(住席)한 지 보름이 지났다. 장마철이라 흐린 날씨에도 새벽에 백운산(白雲山)을 올랐는데 산 이름답게 연무(煙霧)가 정상을 감싸고 있다. 어제는 모처럼 시계가 확보되어 멀리 호룡곡산이 시야에 선명하게 들어왔다. 호룡곡산(虎龍谷山) 해발고도 245m이며 무의도(舞衣島)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호랑이와 용이 싸웠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호룡곡산은 약 20여 년 경 연육교(連陸橋)가 가설되기 전 올라보았는데 산행 중 길 가에 보았던 무덤이 눈에 들어와 한동안 머문 기억이 있다. 무덤을 보는 순간 남서향의 오선위기혈(五仙圍碁穴 : 다섯 신선이 바둑을 두고 있는 형국으로 바둑판 위치가 혈(穴)이 된다.)의 형국으로 사람이 앉을만한 안정적인 자연석 대 여섯 개 가운데 위치하여 따스한 가을 햇살을 .. 더보기
위응물 유거, 추야기구이십이원외(韋應物 幽居, 秋夜寄丘二十二員外) 우리가 현재 삶을 영위하는 거주지마다 주소가 있다. 주소에는 동내이름 즉 지명이 있는데 지명을 어원적(語源的), 역사적(歷史的), 지리학적(地理學的)으로 분류하는 학문을 지명학(地名學)이라고 한다. 지명학은 그 지명의 언어가 쓰였던 기간, 역사, 인구분산과 같은 중요한 역사적 정보도 알려주며 내가 태어난 고향이나 현재 살고 있는 지명의 유래와 변천과정을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으리라. 인천시 영종도(永宗島) 운서동(雲西洞)에 터전을 마련한 지 10여 일이 지났다. 영종도는 2001년도에 개항한 인천국제공항은 세계 3위의 국제공항으로 명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세계인이 우리나라를 찾는 관문으로 자랑과 긍지를 갖기에 충분하다. 영종동(永宗洞)의 지명의 유래는 인천항 서쪽 해상에 위치한 곳으로 인천국제공항이 있.. 더보기
뇌연 남유용 억유자, 간록주, 집오백옥암정..(雷淵 南有容 憶幼子, 看漉酒, 集吳伯玉巖亭..) 어제는 줄기차게 하루 종일 장맛비가 내렸는데 오늘은 맑게 개였다. 장마는 6월 하순에서 7월 하순의 여름에 걸쳐서 동아시아에서 습한 공기가 전선을 형성하며 남북으로 오르내리면서 많은 비를 내리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로, 한자로는 구우(久雨)라고도 하며, 중국이나 일본은 매우(梅雨)라고 부른다.장마의 어원(語源)은 1500년대 중반에 나온 '길다'라는 의미의 한자어인 '장(長)'과 비를 의미하는 '마ㅎ'를 합성한 '댱마ㅎ'를 장마 어원으로 추정한다. 1700년대 후반에는 '쟝마'로 표기하기 시작했고, 일제강점기 이후부터 지금 '장마'로 쓰고 있다. 약 30개월의 세종시 공동주택건설 감리업무를 마치고 7월 1일 자로 새로운 현장에 배치되어 2년 넘게 정보통신 감리를 수행하게 되었다. 현장과 인접한 곳에 숙소를.. 더보기
이사 상진황축객서(李斯 上秦皇逐客書) 20여 년 전 오랜 지인으로부터 모략(謀略)이라는 책을 선물 받은 기억이 있다. 총 3권으로 5천 년 중국역사를 개척한 모략(謀略)의 거장들을 만나보는 시간으로 한번 읽어서는 그 모든 내용을 파악할 수는 없겠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빠져드는 기분이 들었다. 책의 저자 차이위치우(柴宇球 1952 ~ )는 1952년 장쑤성 쑤양 출생. 1968년 열일곱의 나이로 군 입대하여 소장(少將)으로 퇴역했다. 군에서는 군사작전훈련처 부처장, 보병단장, 교도단장, 난징(南京) 육군지휘학원 부원장 겸 교수(박사 지도교수) 등을 역임했고, 1986년에 국방대학을 졸업했다. 1987년에 중국 군사지도학과 최초의 전문서인 군사영도학(軍事領導學)을 냈고, 많은 훈장과 표창을 받은 인물이다. 모략가들의 창조성은 인류의 지혜와 재능.. 더보기
김부식 관란사루(金富軾 觀瀾寺樓) 우주를 알면 알수록 신비롭다.소싯적 맑은 밤하늘을 바라보면 촘촘히 떠있는 별과 물결치는 희뿌연 은하수를 쉽게 볼 수 있었는데 지금은 조명이 없는 깊은 산골에 가야만 어렴풋이 볼 수 있다. 대기가 오염된 탓이다. 인간의 육안으로 헤아릴 수 있는 별은 대략 3,000개 정도 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광활한 대우주에는 몇 개의 별이 있을까? 최근 천문학자들이 재미있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는데 적외선 천문 관측을 주목적으로 하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 우주에는 대략 7x10의 22 승배의 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즉 1억개가 700조 개 된다는 것인데 이는 지구상의 모든 흙과 모래 알갱이 수를 전부 합산한 것보다 10배나 더 많은 수치이다. 우리 은하보다 규모가 2배 더 큰 안드로메타 은하는.. 더보기
최호 장간행/장간곡(崔顥 長干行/長干曲) 4수 손사막(孫思邈, 581?~682 )은 경조화원(京兆華原 : 今陕西耀州區) 출신으로 당대(唐代)의 의사, 연금술사, 한의학자로 활동하였다. 천금요방(千金要方) 과 천금익방(千金翼方) 의 저자로, 의술이 대단하여 약신(藥神), 약왕(藥王)이라 불렸다. 그가 말한 노년을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방법으로 사소사다(四少四多)를 살펴보면 소욕다족(少欲多足 : 욕심을 적게 만족함을 많게), 소언다사(少言多思 : 말은 적게 생각은 많게), 소일다노(少逸多勞 : 여가를 줄이고 일은 많게), 소식다찬(少食多餐 : 적게 먹고 식사는 자주)를 주창(主唱)하였는데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으로 모두를 실천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누구나 지니고 있는 욕심(欲心)을 소욕과 과욕으로 분류한다면 먼저 과욕(過慾)이 지나치면 탐욕(貪慾)으로 .. 더보기
상건 서산(常建 西山) 우리는 지금 산업혁명(第四次 産業 革命)이 시작되는 시점에 살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용어는 2016년 세계 경제포럼에서 처음 주창되어 정보통신 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지는 차세대 산업혁명이다. 18세기 초기 1차 산업혁명 이후 네 번째로 중요한 산업 시대이다. 이 혁명의 핵심은 빅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AI), 로봇공학, 사물인터넷(Iot), 무인 운송 수단(무인 항공기, 무인 자동차), 3D 프린팅, 나노(Nano) 기술과 같은 7대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 혁신이다.인공지능과 로봇의 발달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에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각종 직업들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실제로 ‘세계 경제 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은 ‘직업의 미래(The Future of Job..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