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향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여류시인 이씨 시 석조(女流詩人 李氏 詩 夕照) 지은이 이 씨(李氏)는 앞서 소개한 김호연재의 서모(庶母 : 아버지의 첩)로 추정되는 인물로 고성(高城) 군수를 지낸 김성달(金盛達)의 소실로 성씨만 전해짐이 너무 아쉽다. 이 시는 해 질 무렵 어촌 풍경을 서정적으로 잘 표현해낸 격조 높은 시이다. 파도와 더불어 어부들의 노 젓는 소리, 강과 바다가 접한 고요한 시골 풍경과 비를 맞으며 고기잡이를 했던 어부들의 모습 등을 작자의 상상력을 통하여 생동감 있게 잘 표한 여류시인 이 씨의 시를 자서해 보았다. 석조(夕照 : 저녁 노을) 漁人款乃帶潮歸(어인관내대조귀) 어부들 노 젓는 소리 파도를 몰고 돌아올 때 山影倒江掩夕扉(산영도강엄석비) 해 질 무렵산 그림자 강물에 비치자 사립문 닫고 知是來時逢海雨(지시래시봉해우) 돌아오는 어부들 해우(海雨)를 만난 줄 알.. 더보기 여류시인 김호연재 시 형제공차서모명자절(女流詩人 金浩然齋 詩 兄弟共次庶母明字絶) 김호연재(金浩然齋. 1681~1722)는 고성군수를 지낸 김성달(金盛達, 1642~1696)의 딸이며, 소대헌(小大軒) 송요화(宋堯和, 1682~1764)의 부인이다. 호연재의 친가는 우의정을 지낸 선원(仙源) 김상용(金尙容)의 후손이며 시가 역시 좌참찬을 역임한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후손으로 친가와 시가 모두 당대 손꼽히는 명문이었다. 김호연재 역시 여성의 학문과 문학 활동을 적극 지원하는 가정에서 문학수업을 제대로 받으며 자란 여성 작가이다. 또 김성달 집안에는 김성달이 정실인 아내 연안 이 씨와 주고받은 시를 모은 시집 안동김씨세고(安東金氏世稿)와 김성달이 부실인 울산 이 씨와 주고받은 시와 서녀의 시를 모은 우진(宇珎)등이 전하는데, 이로 볼 때 호연재는 온 가족이 모두 시를 지으며 .. 더보기 기녀 조운 시 가증남지정(妓女 朝雲 詩 歌贈南止亭) 한시는 접하다 보면 당 시대의 풍류, 서정, 애환, 연정과 교훈적인 요소와 작자의 숨겨진 내면의 세계, 삶의 자취가 그대로 스며져 있다. 앞에서 소개된 내용과 달리 조선시대 여류시인의 시들을 접해보고자 한다. 女流詩人 하면 떠오르는 황진이, 허난설헌가 연상되지만 그 외 널리 알려지지 않은 여류시인의 시를 찾아 그들이 느꼈던 사연들을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여류시인의 흔적이 없다면 너무나 허전했을 터인데 선조들의 훌륭한 기록문화가 과거를 통해 새로움을 찾아가는데 교훈이 되고 있다. 朝雲은 500여 년 전 조선 전기 全州의 기녀로 알려져 있으며 생몰연대는 기록이 없다. 소개하고자 하는 시는 詩題에서 나타나듯이 남지정에게 노래하며 드리는 시(歌贈南止亭)로 드러나는 내용 속에 엄청난 내공이 숨겨져 있다. .. 더보기 손화 최석항 시 추경(損窩 崔錫恒 詩 秋景) 손와 최석항(損窩 崔錫恒. 1654~1724) 조선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구(汝久). 호는 손와(損窩)이다. 1678년(숙종 4) 진사가 되고 168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몸집이 작고 차림이 초라하였으나, 사리판단이 정확하여 경상도관찰사로 있을 때는 전국의 관찰사 중 제일이라는 평판을 들었다.벼슬은 이조판서를 거쳐 좌의정에 이르렀고, 나이 70이 되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당시 소론4대신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혔는데, 이러한 당색 때문에, 영조가 즉위한 뒤 관작이 추탈되었다가 복관되기도 하였다. 저서로는 손와유고(損窩遺稿) 13권이 있다. 손와유고에 실린 가을관련 한시를 행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추경(秋景) - 최석항(崔錫恒) 秋山樵路轉(추산초로.. 더보기 검암 범경문 시 창헌추일(儉巖 范慶文 詩 蒼軒秋日) 범경문(范慶文. 1738~1800) 조선 후기의 위항시인으로 본관은 금성(錦城). 자는 유문(孺文), 호는 검암(儉巖) 이며 가계와 생애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그가 살았던 곳의 위치만 전해지는데, 아침마다 배오개 시장(梨峴市)의 시끄러운 소리가 들리는 장안의 제2교(橋), 즉 광교(廣橋) 근처에 있었다고 한다. 17, 18세 때에 문장으로 이름나 진신 대부들 사이에 잘 알려져 있었고, 그들로부터 장자(長者)의 풍모를 지녔다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음주를. 좋아하고 성격이 소광(疎曠)하여 당시 이름 있는 시인들과 수창(酬唱 : 시가를 통하여 상호 贈答, 唱和하는 것으로 소통 가능한 사람끼리 은밀한 생각을 한시라는 운문 형식을 빌어 내면의 깊은 울림과 파장을 전달하고자 하는 문학 행위)하였으므로,그가 남긴.. 더보기 청헌 석지영 시 산행(淸軒 石之嶸 詩 山行) 소개하고자 한는 한시는 조선시대 위항시인인 청헌 석지영의(淸軒 石之嶸) 시 산행(山行)으로 풍요속선((風謠續選 : 1797년 천수경(千壽慶) 등이 편찬한 위항시집(委巷詩集))에 기록되어 있다. 풍요속선 권두에는 당시 대제학이던 홍양호(洪良浩)와 정창순(鄭昌順), 이가환(李家煥)의 서문을 실었다. 말미에는 정이조(丁彝祚), 이시선(李是선), 홍의영(洪儀泳), 이덕함(李德涵)의 발문을 실었어며, 총 7권으로 365명의 위항시인의 시를 기록하였다. 석지영의 시는 3권에 실려져 있으며, 아쉽게도 그에 대한 생몰연대는 기록이 없다. 이번 여름은 기록적인 폭염과 열대야로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다. 처서가 지났지만 여전히 한 낮의 햇볕은 따갑다. 때론 조석으로 부는 가을 바람과 해질 무렵 풀벌레 소리가 가을이 왔음을.. 더보기 휴정 서산대사 선시 유가야(休靜 西山大師 遊伽倻) 서산대사(西山大師 , 淸虛 休靜. 조선 중기의 고승)에 대하여는 앞서 언급하였기에 생략토록 하겠다.소개하고자 하는 선시는 서산대사가 늦은 봄날 가야산에서 읊은 시를 초서체로 자서해 보았다.유가야(遊伽倻 : 가야산에서 노닐며) - 휴정(休靜)落花香滿洞(낙화향만동) 지는꽃 향기는 마을에 가득하고啼鳥隔林聞(제조격림문) 저 넘어 숲에서 새소리 들려온다僧院在何處(승원재하처) 절은 어디에 있는가?春山半是雲(춘산반시운) 봄 산은 구름속에 가리워져 있네 더보기 왕문청 우견(王文淸 偶見) 왕문청(王文淸. 1696~1787) 청나라 호남(湖南) 영향(寧鄕) 사람. 자는 정감(廷鑑)이고, 호는 구계(九溪)다. 옹정(雍正) 2년(1724) 진사(進士)가 되고, 악주부(嶽州府) 교수(敎授)에 올랐다. 건륭(乾隆) 연간에 경학(經學)으로 천거를 받아 삼례(三禮)와 율려정의(律呂正義)를 편찬했고, 종인부주사(宗人府主事)를 거쳐 퇴직했다. 일찍이 악록서원(岳麓書院)의 주강(主講)을 맡았다. 경학을 공부했고, 예(禮)에 정통했다. 저서에 의례분절구두(儀禮分節句讀)와 주례회요(周禮會要), 고고원류(考古源流), 서경여초(鋤經餘草), 악률문대(樂律問對), 시문략(詩文略) 등이 있다.소개하고자 하는 한시는 청나라 시인 왕문청의 偶見으로 흘러가는 구름이 청산에 잠시 머물다가 사라지는 모습을 우연히 바라보며 읊은.. 더보기 호헌 답주원회(胡憲 答朱元晦) 호헌(胡憲. 1068~1162)은 南宋시대 학자이다. 그가 만년에 속세를 떠나 산중에 살게 되는데, 어느 날 주자가 찾아가 부친의 친구이자 스승인 호헌에게 하산을 권한다. 그러자 호헌은 시로 응답하는데 그게 바로 답주원회(答朱元晦)이다. 원회(元晦)는 주희(朱熹) 즉 朱子의 字이다. 연일 장맛비가 내리고 다습하고 후텁지근한 날씨가 계속되고 있다. 그 당시 이시기에 지은 시로 판단되며 소나기가 지나간 뒤 손에 잡힐 듯 다가온 청산의 모습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으리라. 평소 좋아하는 시를 행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답주원회(答朱元晦 : 주원회에게 답하다) - 호헌(胡憲) 幽人偏愛靑山好(유인편애청산호) 속세 떠나 사는 내가 푸른 산만 좋아함은 爲是靑山靑不老(위시청산청불로) 청산의 푸르름은 영원하기 때문이라네 山.. 더보기 시인 정초부 시 몇 수(詩人 鄭樵夫 詩 몇 首) 몇 해 전 KBS 역사스페셜에서 방영된 ‘노비 정초부 시인(詩人)이 되다’를 시청한 적이 있는데 적지 않은 충격으로 다가왔다. 그동안 다른 문헌을 통해 그 존재만 알려졌던 정초부의 한시집에 그가 지은 약 90수의 시가 들어 있는 초부유고(樵夫遺稿)이 발견됨에 따라 그간의 의문들이 확 풀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18세기 일급 문인으로 분류되는 정약용(丁若鏞), 박제가(朴齊家), 이학규(李學逵) 등 4명의 시만 골라 묶은 필사본 시집 ‘다산시령(茶山詩零)’에 그의 시가 실려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정초부의 명성이 대단했음을 짐작하게 한다. 또한 여춘영(呂春永·1734∼1812)의 문집 ‘헌적집(軒適集)’에서도 기록을 찾아냄에 따라 그의 생졸연도, 정초부와 주종(主從)의 관계 등이 명확히 밝혀지게 되어 그 의미가.. 더보기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 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