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

나옹선사 선시 몇 수(懶翁禪師 禪詩 몇 首) 고려 말의 뛰어난 고승 나옹선사(懶翁禪師, 1320∼1376)의 이름은 혜근(慧勤)이다. 법호는 나옹, 호는 강월헌(江月軒). 선사의 나이 21세 때 문경 공덕산 묘적암(妙寂庵) 요연선사(了然禪師)께 찾아가 출가했다. 그 뒤 5년 후 양주 회암사에서 밤낮없이 정진하다가 홀연히 깨달음을 얻었다. 1347년에는 중국 원나라로 들어가 연도(燕都)의 법원사(法源寺)에 머물고 있던 인도 출신인 지공(指空) 스님을 만나 법을 들은 뒤 다시 정자사(淨慈寺)로 가서 평산처림(平山處林. 1279~1361 臨濟의 법을 이어받은 중국의 고승)의 법을 전해 받고 불자(拂子)를 받는다. 1358년에 다시 지공을 만난 뒤 고려로 귀국한다. 1361년에는 공민왕의 부름을 받고 궁중에 들어가 내전에서 왕을 위하여 설법하고 왕과 왕비.. 더보기
이백 춘야연도리원서(李白 春夜宴桃李園序) 당대(唐代) 시인인 이태백에 대하여는 앞서 소개하였기에 생략토록 하겠다. 이 시는 복숭아, 자두꽃 만발한 봄날 밤 도리원에서 연회를 열고 친척, 친구들과 어울리면서 시를 쓴 내막을 서술한 글이다. 아름다운 경치, 운치 있는 대화, 술을 마시며 시를 짓는 정경 등이 잘 묘사되어 있다. 인생무상을 드러낸 부분도 있지만 자연(自然)을 좋아하고 일상을 즐기는 여유도 살필 수 있다. 제목과의 적절한 호응, 조리 있는 내용 전개 등에서도 뛰어난 명문장으로 흑지에 행초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 : 봄날 밤에 도리원에서 잔치하며 지은 시의 서문) 夫天地者萬物之逆旅(범천지자만물지역여) 천지라는 것은 만물을 맞이하는 여관이고 光陰者百代之過客(광음자백대지과객) 세월이라는 것은 잠시 지나는 나그네이다.. 더보기
유원주 몽유산사(劉元柱 夢遊山寺) 유원주(劉元柱. 생몰연대 미상, 조선시대 말 19세기 *여항문학의 대표적 위항시인으로 추정) 가을로 접어드는 시기에 꿈속의 풍광을 서정적으로 표현한 수준 높은 시이다. 비록 위항시인으로 신분의 한계와 현실을 실감하며, 시를 통하여 순수, 자유, 이상향을 표현하고자 하는 심정이 담겨 있다. 산사와 백운, 스님과 학을 등장시켜 음미할수록 묘한 감흥을 일으키는 시를 행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몽유산사(夢遊山寺 : 꿈에 산사에서 노닐다)山寺依然似舊遊(산사의연사구유) 산사는 의연히 예 놀던 때와 변함없고白雲紅樹擁虛樓(백운홍수옹허루) 흰 구름 단풍나무는 빈 누각을 감싸네僧歸塔下三更月(승귀탑하삼경월) 삼경의 달 아래 스님은 탑으로 향하고,鶴立溪邊一點秋(학립계변일점추) 학 노니는 냇가는 한 점의 가을빛이 드리운다 *여항.. 더보기
석운 서헌순 시 우영(石耘 徐憲淳 詩 偶詠) 석운 서헌순(石耘 徐憲淳 1801~1868) 조선말의 문신으로 자는 치장(穉章) 호는 석운(石耘)이며 본관은 달성(達城)이다. 순조 29년(1829) 문과 급제하여 요직을 두루 거쳐서 공조판서(工曹判書), 전라 경상 감사(全羅·慶尙監司), 예문관 제학(藝文館 提學)을 지냈다. 고종 4년(1867) 휴가를 받아 공주 자운동(公州紫雲洞)에 있다가 이듬해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제수(除授) 받았으나 병으로 사퇴했다. 감사로 있을 때 정사(政事)에 청렴결백하며 부결(剖決 : 시비선악을 판단하여 결정함)이 완벽하여 귀신과 같다는 평을 받았다. 연 이틀동안 천둥번개를 동반한 폭우가 쏟아졌다. 집 근처 특용작물을 중심으로 텃밭을 일구고 있는데 올해처럼 과할 만큼 비가 내려 준 적이 없다. 농부입장에선 천금같이 고마운 .. 더보기
양촌 권근 시 몇 수(陽村 權近 詩 몇 首) 양촌 권근(陽村 權近. 1352~1409)은 본관 안동(安東), 자 가원(可遠), 사숙(思叔), 호 양촌(陽村), 시호 문충(文忠), 초명 진(晋)이다. 1367년(공민왕 16) 성균시(成均試)를 거쳐 이듬해 문과에 급제, 춘추관 검열이 되고, 우왕(禑王) 때 예문관응교(藝文館應敎),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거쳐, 성균관 대사성, 예의판서(禮儀判書) 등을 역임하였다. 창왕(昌王) 때 좌대언(左代言) , 지신사(知申事)를 거쳐 밀직사첨서사(密直司僉書事)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375년(우왕 1) 박상충(朴尙衷), 정도전(鄭道傳), 정몽주(鄭夢周)와 같이 친명정책(親明政策)을 주장하여 원나라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였고, 1389년(창왕 1) 윤승순(尹承順)의 부사(副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올 때 가져온 예부(.. 더보기
연적 관련 한시(硯滴 關聯 漢詩) 몇 해전 일사 구자무(一史 具滋武) 선생님의 작품집을 구해 읽다가 연적의 모양이 이쁘게 그려진 '연적도(硯滴圖)’에 쓰인 글귀가 신선하게 다가온 적이 있다. 옛 유생들이 먹을 갈기전 흰색으로 곱게 빗은 백자 *무릎 연적을 서로 다투어 만지며 주르륵 벼루에 따르는 모습을 보며 누군가 지은 시로 사료된다. 작자미상의 이러한 시를 대할 때면 저절로 입가에 미소를 머금게 한다. 그 때의 글귀가 생각나서 자서해 보았다. 무릎연적 - 작자미상 天女何年一乳亡(천녀하년일유망) 어느 해인가 선녀가 한쪽 유방을 잃었는데 偶然今日落文房(우연금일락문방) 우연히 오늘 서당에 떨어졌네 少年書生爭手撫(소년서생쟁수무) 어린 서생들 다투어 어루만지니 不勝羞愧淚滂滂(불승수괴누방방) 부끄러움 이기지 못해 주르르 눈물 흘리네 백자 무릎 모.. 더보기
여동록 영란 시 2수(余同麓 詠蘭 詩 2首) 여동록(余同麓)은 중국 元나라 시인으로 생몰연대, 활동시기, 출신 등에 대하여는 기록된 바 없다. 앞서 한용운님의 시 춘주에 여동록의 영란 댓글을 달아준 동생은 국내 식물학 분야 저명 현직교수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학에도 조예가 깊다. 소개하고자 하는 시 영란(詠蘭)은 총 3수가 전해지는데 그중 두수를 자서해 보았다. 문인화가들이 蘭 그림의 화재(畵材)로 즐겨 인용되는 시 이기도 하다. 영란(詠蘭 : 난초를 읊다) - 여동록(余同麓) 其 一. 百草千花日夜新(백초천화일야신) 온갖 풀과 꽃들이 밤낮으로 새로운데 此君竹下始知春(차군죽하시지춘) 그대(난)는 대나무 아래서 비로소 봄을 맞이하고 雖無艷色如嬌女(수무요색여교녀) 비록 아릿다운 여인 같이 요염하지 아니하며 自有幽香似德人(자유유향사덕인) 스스로 풍기는 그윽.. 더보기
만해 한용운 시 춘주(卍海 韓龍雲 詩 春晝) 오늘은 사방에 벚꽃과 개나리, 야산엔 진단래가 만개해 우리 눈을 즐겁게 하는 24절기 중 기후조건이 가장좋은 청명이자 식목일이다. 어런 봄을 시샘하듯 촉촉히 봄비가 내리고 있지만 행여 바람이 불어 꽃잎을 훑어갈 까 두렵다. 90년초 서울에 터전을 마련할 무렵 파고다공원(탑골공원)에 들런적이 있는데 만해 한용운 시비 뒷면 말미에 세로로 새겨진 시를 접한 후 한동안 발길을 멈추고 외울때 까지 머문적이 있다. "가벼웁게 나는 꽃이 글자를 가리운다 구태어 꽃 밑 글자를 읽어 무삼하리요" 당시 만해선생께서 지금의 날씨처럼 따스한 봄볕을 등에지고 유마경을 읽다가 바람에 흩날리는 꽃잎이 글자를 가리는 모습을 한글로 이토록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을 까? 세속과 구도를 초탈하고 자연의 순리에 기탁하는 대 자유인 으로서 .. 더보기
방랑시인 김삿갓(김병연.金炳淵)시 몇 수 방랑시인은 김병연(金炳淵 1807~1863)은 조선 후기 시인으로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심(性深), 호 난고(蘭皐)이다. 속칭 김삿갓 혹은 김립(金笠)이라고도 부른다. 아버지는 김안근(金安根)이며 경기도 양주에서 출생하였다. 1811년(순조 11) 홍경래 난 때 선천부사(宣川府使)로 있던 조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에게 항복하였기 때문에 연좌제의 의해 집안이 망하였다. 당시 6세였던 그는 하인 김성수(金聖洙)의 구원을 받아 형 병하(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피신하여 숨어 지냈다. 후에 사면을 받고 과거에 응시하여 김익순의 행위를 비판하는 내용으로 답을 적어 급제하였다. 그러나 김익순이 자신의 조부라는 사실을 알고 난 후 벼슬을 버리고 20세 무렵부터 방랑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는 스스.. 더보기
장유병 시 신뢰(張維屏 詩 新雷) 장유병(張維屏 1780~1859) 청(清)나라 때의 관리이자 시인으로 광동(廣東) 번우(番禺) 사람이다. 자는 자수(子樹)이고, 호는 남산(南山), 송심자(松心子), 주해노어(珠海老漁), 창하어자(唱霞漁者)이다.도광(道光) 2년(1822)에 진사(進士) 출신으로 벼슬은 호북(湖北), 강서(江西) 일대의 지방관과 서리남강지부(署理南康知府)를 지냈다. 저서로 장남산전집(張南山全集), 청송려시화(聽松廬詩話), 예담록(藝談錄), 국조시인정략(國朝詩人征略)등이 있다.소개하고자 하는 장유병의 시 신뢰는 청조말 영국의 침략에 대한 저항시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앞서 소개한 의암 유인석(毅菴 柳麟錫)의 大寒 시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유달리 길고 추웠던 겨울을 뒤로한 채 남녘으로부터 봄소식이 전해오고 있어 春日,春興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