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

한무제 추풍사(漢武帝 秋風辭) 한 무제(漢武帝) 名은 유철(劉徹). 前漢의 제7대 황제(재위기간 : 기원전 141~기원전 87). 경제(景帝)의 열한번째 아들로, 시호는 세종(世宗)이다. 재위 기간 동안 추은령(推恩令)을 내려 제후왕(諸侯王)들에게 땅을 나눠 자제들에게 주고 후(侯)로 삼게 하여, 제후국의 세력을 약화시켰다. 즉위하자 권신들을 면직시키고 어질고 겸손한 선비를 등용하여 관리의 자질을 향상시켰다. 오경박사(五經博士)를 두어 유학에 중점을 두고 인재양성에도 힘을 기울였다. 치세(治世)의 특징은 중앙집권화와 영토의 확장인데, 특히 중앙아시아를 통해 동서 교섭이 왕성해진 점을 들 수 있으며, 54년 동안 재위했다. 이 추풍사는 한무제가 하동(河東)을 순행하며 토지신인 후토신(后土神)에게 제사를 지내고, 주변 경치를 돌아보며 기.. 더보기
신라향가 헌화가(新羅鄕歌 獻花歌) 헌화가는 신라 성덕왕(聖德王)때 한 노옹(老翁)에 의하여 불린 4구체 향가. (三國遺事) 권2 ‘수로부인조(水路夫人條)’에 실려 있다.수록 문헌에 의하면 성덕왕대 순정공(純貞公)이 강릉 태수(江陵太守)로 부임해 가다가 해변에서 점심을 먹게 되었다.그 곁에는 높이 천 길이나 되는 돌산 봉우리들이 병풍처럼 바다에 닿아 있는데, 그 위에 척촉화(躑躅花 : 철쭉나무 꽃)가 많이 피어 있었다.순정공의 부인 수로가 그 꽃을 보고 좌우의 종자(從者)들에게 그 꽃을 꺾어 바칠 자가 없느냐고 물었더니 모두가 사람의 발길이 닿을 수 없으므로 불가능하다고 대답하였다.마침 그 곁으로 암소를 끌고 가던 노옹이 수로부인의 말을 듣고, 그 꽃을 꺾고 또 가사(歌詞)를 지어 바쳤다.그 노옹에 대하여는 더 이상 기록된 바가 없다. 헌.. 더보기
주희 은구재(朱熹 隱求齋) 은구재(隱求齋 : 은거하며 자신이 가야할 길을 추구함) - 주희(朱熹) 晨窓林影開(신창임영개) 새벽 창문에 숲의 그림자 비치고 夜枕山泉響(야침산천향) 밤 베갯머리엔 산속 샘물이 울리네 隠去復何求(은거복하구) 속세 떠나 은거함에 다시 무엇을 구하리오 無言道心長(무언도심장) 말없는 가운데 도심만 깊어가네 주희(朱熹)의 시 무이정사잡영(武夷精舍雜詠) 5언 절구 12수 가운데 세 번째인 은구재(隱求齋)의 전구(轉句)와 결구(結句)를 쓴 것인데, 본인의 사상과는 배치되는 도교, 불교, 노자의 심경이 담겨있어 후학들로 하여금 아이러니한 면모를 느끼게 하는 시이다. 더보기
홍세태 야국(洪世泰 野菊) 홍세태(洪世泰,1653~1725)는 조선 후기의 조선 후기의 시인.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도장(道長), 호는 창랑(滄浪), 유하(柳下). 중인 신분으로 경사(經史)와 시(詩)에 능통하여 사대부 들과 친하게 지내며 중인들과 낙사(洛社)라는 시사(詩社)를 만들어 시를 짓고 풍류를 즐겼다. 그는 문학적 재능은 뛰어났으나 평생을 궁핍하게 살았는데, 이를 안타깝게 여긴 이광좌(李光佐)의 도움으로 말년에는 울산감목관(蔚山監牧官)·제술관·남양감목관 등을 지내기도 했다. 1712년 위항시인 48명의 시작품을 모아 (해동유주 海東遺珠)라는 시선집을 편찬하는 등 위항문학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731년 문인들에 의해 시문집인(유하집) 14권이 간행되었다. 그의 시 야국을 예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들국화(野菊.. 더보기
다산 정약용 영수석(茶山 丁若鏞 詠水石)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은 조선 후기 대표적 실학자(實學者)로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에서 태어났다. 본관(本貫)은 나주(羅州), 자(字)는 귀농(歸農), 미용(美庸), 호(號)는 다산(茶山). 사암(俟菴). 익호(諡號)는 문도(文度)이다. 주요 관직은 병조참지(兵曹參知), 부호군(副護軍), 형조참의(刑曹參議)를 지냈으며, 저서로는 경세유표(經世遺表), 목민심서(牧民心書), 흠흠신서(欽欽新書),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등 500여 권이 전해지고 있다. 다산선생의 영수석 시를 자서해 보았다. 영수석(詠水石 : 물과 돌을 읊다) 泉心常在外(천심상재외) 냇물 마음은 언제나 세상 밖에 있는데 石齒苦遮前(석치고차전) 돋아난 돌들이 괴롭게 앞을 막는다 掉脫千重險(도탈천중험) 천 겹의 험난함을 헤쳐.. 더보기
두목 추석(杜牧 秋夕) 추석(秋夕) - 두목(杜牧) 銀燭秋光冷畫屏(은촉추광냉화병) 은촛대에 가을 빛 채색 병풍을 차갑게 비추는데 輕羅小扇撲流螢(경나소선박유형) 작은 비단부채로 날아드는 반딧불을 내쫓았죠 天階夜色涼如水(천계야색냉여수) 궁궐 계단엔 밤빛이 물처럼 차고 坐看牽牛織女星(좌간견우직녀성) 앉아서 저 멀리 견우직녀성을 바라다 보네 더보기
최치원 추야우중(崔致遠 秋夜雨中) 입추가 지난 지 10여 일 지났지만 아직도 한낮은 여전히 무덥고 열대야로 잠 설치는 날이 잦다. 앞서 이 충무공의 진중야음(陣中夜吟)과 최치원의 추야우중(秋夜雨中)은 누구나 기억하고 있는 시로 최치원이 당나라 유학시절 비 내리는 가을밤에 고국에 대한 그리움이 간절하게 내포되어 있다. 비 내리는 가을밤 친숙한 최치원의 추야우중 을 자서해 보았다. 추야우중(秋夜雨中 : 비 내리는 가을밤에) - 최치원(崔致遠) 秋風唯苦吟(추풍유고음) 가을바람에 괴로이 읊나니 世路少知音(세로소지음) 세상에 나를 아는 이 적구나 窓外三更雨(창외삼경우) 창 밖엔 쓸쓸히 밤비 내리는데 燈前萬里心(등전만리심) 등 앞의 마음은 고국 만 리를 달리네 더보기
이순신 진중야음(李舜臣 陣中夜吟) 진중야음(陣中夜吟 : 진중에서 밤에 읊다) - 이충무공(李忠武公) 水國秋光暮(수국추광모) 수국에 가을빛 저무는데 驚寒雁陣高(경한안진고) 추위에 놀란 기러기 떼 높구나 憂心輾轉夜(우심전전야) 나랏일 걱정에 잠 못 이루는 밤 殘月照弓刀(잔월조궁도) 새벽달이 궁도를 비추네 더보기
이백 월하독작 제4수(李白 月下獨酌 第4首) 월하독작 제4수(月下獨酌 第4首) 窮愁千萬端(궁수천만단) 깊은 근심 천만 갈래 美酒三百杯(미주삼백배) 미주 삼백 잔을 들지어다. 愁多酒雖少(수다주수소) 근심은 많고 술은 비록 적지만 酒傾愁不來(주경수불래) 술잔 기울이니 근심은 사라지네 所以知酒聖(소이지주성) 술을 성인에 비유함을 아는지라 酒酊心自閑(주정심자한) 술잔 거해 지니 마음 스스로 한가하네 辭粟臥首陽(사속와수양) 곡식은 사양하고 수양산에 누워 屢空飢顔回(누공기안회) 빈 곡간에 안회는 굶고 있네 當代不樂飮(당대불락음) 당대에 술 마시기를 즐기지 않으니 虛名安用哉(허명안용재) 그 헛된 이름을 어디에 쓸 것인가? 蟹蠣卽金液(해려즉금액) 게와 가재가 곧 금액이요 糟丘是蓬萊(조구시봉래) 술지게미 언덕이 바로 봉래산일세 且須飮美酒(차수음미주) 또한 모름지기.. 더보기
이백 월하독작 제3수(李白 月下獨酌 第 3首) 이태백(李太白)시인에 대하여는 앞서 망여산폭포(望廬山瀑布)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기에 생략토록 하겠다. 백화만발 춘3월에 주선(酒仙)과 시선(詩仙)의 면모를 느끼기에 부족함이 없는 시를 붉은색지에 은니(銀泥)로 자서(自書)해 보았다. 월하독작 제 3수(月下獨酌 第 3首) - 이백 三月咸陽城(삼월함양성) 춘삼월 함양성에 千花晝如錦(천화주여금) 한 낮의 백화만발 비단과 같네 誰能春獨愁(수능춘독수) 누가 이 좋은 봄날 홀로 근심하는가? 對此徑須飮(대차경수음) 이런 풍경 대하면 오직 술을 마시네 窮通與修短(궁통여수단) 궁함과 영달, 수양이 짧든 造化夙所稟(조화숙소품) 천지조화에 의하여 이미 정해지는 것 一樽齊死生(일준제사생) 한 잔 술에 죽음과 삶 경계가 없으지니 萬事固難審(만사고난심) 모든 일들이 진실로 헤아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