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차한잔의 여유

다산 정약용 독소(茶山 丁若鏞 獨笑) 혹한의 절정이 지나고 나면 곧 봄이 다가올 것이다. 과거 200여 년 전 정약용은 1801년 신유옥사(辛酉獄事 : 조선 말기인 1801년에 일어난 천주교도 탄압사건)로 영일군 장기현에 유배되었다가 황사영백서(黃嗣永帛書 : 천주교 신자인 황사영(黃嗣永. 1775~1801)이, 1801년 신유박해(辛酉迫害)가 일어나자 신앙의 자유를 강구하기 위해 당시 베이징(北京)주교에게 보내고자 했던 청원서. 두 자 가량 되는 명주천에 썼기 때문에 ‘백서(帛書)’라고 하는데, 깨알같이 작은 1만 3311자나 되는 방대한 내용의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다.)사건에 연루되어 강진으로 이배(移配) 되어 사의재(四宜齋)에서 기거하였다. 1804년 가을 다산이 강진 유배시절 43세에 느낀 인생의 모순과 한계에 대해 독소(獨笑)라는 시.. 더보기
다산 정약용 시 유수종사, 행차염암, 지상절구(茶山 丁若鏞 詩 游水鐘寺, 行次鹽巖, 池上絶句) 대한을 하루 앞둔 날이지만 평년과 같은 기온이다. 대한(大寒)은 24 절기 가운데 마지막 절기로 ‘큰 추위’라는 뜻으로 음력 12월 섣달에 들어 있으며 매듭을 짓는 절후(節候)이다. 양력 1월 20일 무렵이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된다. 앞서 소개한 다산선생의 시 중 다산이 14세에 지었다고 하는 유수종사(游水鐘寺), 18세이 지었다는 행차염암(行次鹽巖) 그리고 지상절구(池上絶句) 3수를 살펴보고자 한다. 유수종사(游水鐘寺 : 수종사에 노닐며) 垂蘿夾危磴(수나협위등) 담쟁이 험한 비탈 끼고 우거져 不辨曹溪路(불변조계로) 절간으로 드는 길 분명찮은데 陰岡滯古雪(음강체고설) 그늘진 언덕에는 묵은 눈 쌓여 있고 晴洲散朝霧(청주산조무) 물가엔 아침 물안개 자욱하게 끼어있네 地漿湧嵌穴(지장용감혈) 샘물은 돌구멍.. 더보기
다산 정약용 시 불역쾌재행(茶山 丁若鏞 詩 不亦快哉行) 오늘 아침 싸라기눈 내린 뒤 오후 들어 구름 한 점 없이 개였는데 이른 쾌청(快晴)한 날씨라 부르 듯 쾌(快)자가 들어가는 단어는 항상 기쁨과 즐거움을 선사한다. 한의학에서는 건강의 가장 기본이 되는 3쾌(三快)를 꼽는데 3쾌는 잘 먹고(쾌식, 快食), 잘 자고(쾌면, 快眠), 잘 배변하는(쾌변, 快便)것이다. 또한 아주 즐겁고 행복한 3쾌를 유쾌(愉快), 상쾌(爽快), 통쾌(痛快)라 하듯이 다산(茶山)선생 또한 이와 관련된 시 불역쾌재(不亦快哉) 20수를 소개하고자 한다. 불역쾌재는 김성탄(金聖歎 : 1610 ~ 1661 명말 청초(明末 淸初)의 문예비평가)의 불역쾌재삼십삼칙(不亦快哉三十三則 : 33가지 행복한 순간)을 빌려와 다산이 불역쾌재행(不亦快哉行)을 지었다. 불역쾌재삼십삼칙은 김성탄이 절친인 .. 더보기
다산 정약용 시 음주(茶山 丁若鏞 詩 飮酒) 겨울의 정점이 지나고 있다. 밤이 길어 집안에 있는 시간이 많다 보니 자연스레 지필묵과 친하게 된다. 서예나 수묵화에 쓰이는 문방구로 종이, 붓, 묵, 벼루를 문방사우(文房四友)로 불린다. 먹(墨)은 벼루에 물을 붓고, 먹을 벼루에 갈아서 먹물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먹은 식물을 태운 뒤 나오는 그을음에 아교와 향료를 넣고 반죽해 굳혀 만든 것으로, 보통 소나무를 태워 나오는 송연(松煙)을 재료로 사용하는데, 현대에는 광물성 그을음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본래 먹은 한(漢) 나라 이후부터 이 소나무를 태워서 만든 송연묵(松煙墨)뿐이었다고 하는데, 중국의 경우 송(宋)나라 시대 장우(張遇)라는 사람이 식물성 기름을 태워서 유연묵(油煙墨)을 만든 이후 송연묵은 점차 밀려났다고 한다. 고대에는 종이, 붓과 함.. 더보기
다산 정약용 시 2수 독립, 타맥행(茶山 丁若鏞 詩 二首 獨立, 打麥行) 오늘(1월 6일)은가운데 스물세 번째 절기로 작은 추위라는 뜻의 절기인 소한(小寒)이다. 옛날 중국 사람들은 소한부터 대한까지 15일간을 5일씩 끊어서 3후(候)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북으로 날아가고 중후(中候)에는 까치가 집을 짓기 시작하고 말후(末候)에는 꿩이 운다고 기술하였다. 이는 중국 황하 유역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우리나라와는 조금씩 차이가 있다. 절기의 이름으로 보면 소한 다음 절기인 대한(大寒) 때가 가장 추워야 하지만,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소한 무렵이 가장 춥다. 혹한의 정점인 소한, 대한을 보내면 입춘인데 1달이 남지 않았다. 얼어붙은 땅속에서 씨앗들은 봄을 기다리며 싹 틔울 준비를 할 것이다.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천재(天才)를 손꼽는다면 단연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이 .. 더보기
무학대사 행장, 오도송(無學大師 行狀, 悟道頌) 고려말 삼화상(三和尙 : 指空, 懶翁, 無學)으로 일컬어지는 무학대사(無學大師)는 조선왕조를 건국에 왕사(王師)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대사와 관련한 수많은 설화와 야담들이 전해 내려온 이야기들은 대체로 무학대사의 비범함을 보이는 신이(神異)한 전설(傳說)들과 이성계와의 인연 및 조선 건국과 관련된 이야기, 한양천도설을 비롯한 풍수도참(風水圖讖)에 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루며, 대체로 후대의 기록들이 많다. 또한 한양으로 도읍을 정할 때 적용했던 풍수설을 담은 동사심전(東師心傳 : 무학대사가 우리나라 풍수를 바탕으로 저술한 책)을 저술했다. 조선 개국의 왕사인 무학대사의 행장과 오도송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 개관(槪觀) 무학대사(無學大師. 1327년 ~ 1405년)는 조선 왕조의 유일한 왕.. 더보기
남호 정지상 개성사팔척방(南湖 鄭知常 開聖寺八尺房) 우리는 현재 4차 산업혁명(四次 産業革命) 시대로 진입된 환경에서 살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뤄지는 차세대 산업혁명으로, '초연결(超連結)', '초지능(超知能)', '초융합(超融合)'으로 대표된다. 이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기술, 드론, 자율주행차, 가상현실(VR) 등이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말하는데 이 용어는 2016년 6월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 포럼(Davos Forum)에서 포럼의 의장이었던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이 처음으로 사용하면서 이슈화됐다. 당시 슈밥 의장은 "이전의 1, 2, 3차 산업혁명이 전 세계적 환경을 혁명적으로 바꿔 놓은 것처럼 4차 산업혁명이 전 세계 질서를 새롭게 만드는 동인(動因)이 될 것"이라.. 더보기
목은 이색 견회(牧隱 李穡 遣懷) 계묘(癸卯)년 새해가 밝았다. 지금은 양력이 보편화되어있지만 불과 100여년 전에는 음력 설날이 새해의 시작이다. 동양철학회는 한 해의 기준을 입춘(立春)이라 주장하고, 천문역리학회는 동지(冬至)를 기준으로 한 해 시작을 알렸는데 사주(四柱)를 어디에 기준을 두냐에 따라 약 600만명의 운명이 왔다 갔다 할 수 있으니 그냥 참고 삼아 볼일이다. 우리나라 양력은 1896년 1월 1일부터 고종(高宗)으로 인해 사용되었다고 하는데 양력(陽曆)은 태양을 기준으로, 음력(陰曆)은 달을 기준으로 한다. 양력이 1년에 365일 이지만 음력은 354일이고 이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윤달이 존재한다. 윤달은 1년에 약 11일 차이를 양력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3년에 한번씩 음력 2월에 윤달을 두어 이를 보정하였다. 윤달을.. 더보기
청매인오 선시 몇 수(靑梅印悟 禪詩 몇 首) 청매인오(靑梅印悟, 1548~1623) 선사는 어려서 출가하여 청허 휴정(淸虛 休靜 : 西山大師)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자는 묵계(默契)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사명당 유정(四溟堂 惟政)과 함께 의승장(義僧將)으로 3년 동안 참전하였다. 그 후 전북 부안군 변산 월명사(月明寺)에서 수도하다가 지리산 연곡사(燕谷寺)로 들어갔다. 1617년(광해군 9)에는 왕명을 받아 정심(正心)ㆍ지엄(智嚴)ㆍ영관(靈觀)ㆍ휴정(休靜)ㆍ선수(善修) 등 5대 종사(宗師)의 영정을 그려 조사당에 모시고 제문을 지었다. 76세로 입적하자 제자들이 지리산 천왕봉(天王峯) 밑에 영당(影堂)을 짓고 영정을 봉안하였다. 그가 임진왜란을 치른 후 지리산의 여러 수행처에서 ‘청매문파(靑梅門派)’를 열어 선풍을 크게 떨쳤다. 선.. 더보기
노봉 김극기 전가사시 중 겨울(老峰 金克己 田家四時 中 冬) 전가사시(田家四時)는 고려 후기에 김극기((金克己. 1150? ~ 1209?, 고려 명종(明宗) 때 문인으로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노봉(老峰))가 지은 오언율시 4 수로 동문선(東文選) 권 4에 수록되어 있다. 농가의 사계절, 즉 춘, 하, 추, 동 각각 한 수씩 읊었는데 소개하고자 하는 넷째 수는 겨울(冬)의 생활을 그리고 있다. 겨우살이에 대비하여 초가집을 고치고 나서 매와 개를 데리고 사냥을 나가 잡아온 고기를 함께 나누어 먹기도 한다. 소혈(巢穴 : 소굴, 오두막)과 같은 옹색한 농민들의 생활이 사실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노봉 선생에 대하여는 앞서 소개한 그의 시 어옹, 통달역(老峰 金克己 詩 2首 漁翁, 通達驛)에서 살펴보았기에 생략토록 하겠다. 전가사시는 작자가 나그네 살이의 과정에서 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