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차한잔의 여유

방랑시인 김삿갓(김병연.金炳淵)시 몇 수

방랑시인은 김병연(金炳淵 1807~1863)은 조선 후기 시인으로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심(性深), 호 난고(蘭皐)이다. 속칭 김삿갓 혹은 김립(金笠)이라고도 부른다. 아버지는 김안근(金安根)이며 경기도 양주에서 출생하였다.

1811년(순조 11) 홍경래 난 때 선천부사(宣川府使)로 있던 조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에게 항복하였기 때문에 연좌제의 의해 집안이 망하였다. 

당시 6세였던 그는 하인 김성수(金聖洙)의 구원을 받아 형 병하(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피신하여 숨어 지냈다. 후에 사면을 받고 과거에 응시하여 김익순의 행위를 비판하는 내용으로 답을 적어 급제하였다.

그러나 김익순이 자신의 조부라는 사실을 알고 난 후 벼슬을 버리고 20세 무렵부터 방랑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는 스스로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 생각하고 항상 큰 삿갓을 쓰고 다녀 김삿갓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전국을 방랑하면서 각지에 즉흥시를 남겼는데 그 시 중에는 권력자와 부자를 풍자하고 조롱한 것이 많아 민중시인으로도 불린다.

아들 익균(翼均)이 여러 차례 귀가를 권유했으나 계속 방랑하다가 전라도 동복(同福:전남 화순)에서 객사하였다. 

유해는 영월군 태백산 기슭에 있으며, 1978년 그의 후손들이 광주 무등산에 시비를 세우고, 1987년에는 영월에 시비가 세워졌다. 작품으로 김립시집(金笠詩集)이 있다.

 

그가 전국을 유람하며 풍자적인 요소와 함께 금강산,묘향산 관련 시를 행서로 자서해 보았다.

 

 죽일기(粥一器 : 죽 한 그릇)

四脚松盤粥一器(사각송반죽일기) 사각송반에 죽 한 그릇

天光雲影共排徊(천광운영공배회) 그 속에 하늘 빛 구름 그림자 함께 떠도네

主人莫道無顔色(주인막도무안색) 주인이여 도가 없다 말하지 마오

吾愛靑山倒水來(오애청산도수래) 나는 물 속에 비친 청산을 좋아한다오

 

금강산(金剛山)

松松栢栢巖巖廻(송송백백암암회) 소나무와 잣나무 사이 바위들을 돌아서니

水水山山處處奇(수수산산처처기) 물과 산들이 곳곳마다 기묘하구나.

 

상경(賞景 : 경치를 즐기다)

一步二顧三步立(일보이고삼보립) 한걸음 걷고 두번 돌아보고 세 걸음에 다시 서니

山靑石白間間花(산청석백간간화) 푸른 산 흰 바위 사이 사이로 꽃이피었네

若使畵工摸此景(약사화공모차경) 화공으로 하여금 이 경치를 그리게 한 들

其於林下鳥聲何(기어림하조성하) 그 숲속의 새 소리를 어찌 할까나…..

(金剛山과 賞景 시는 금강산의 절경을 읊은 시로 함께 연결하여 보았다)

 

묘향산(妙香山) 

平生所欲者何求(평생소욕자하구) 내 평생 소원이 무엇이던가

每擬妙香山一遊(매의묘향산일유) 묘향산에 한번 노니는 것이었지

山疊疊千峰萬仞(산첩첩천봉만인) 산 첩첩 천만봉 먼 길에

路層層十步九休(노층층십보구휴) 길 겹겹 열 걸음에 아옵번 쉬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