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의 출근길은 빌딩 숲과 간간히 동일 수종의 가로수를 맞이하는데 도심 밖의 풍경은 출근길을 즐겁게 하며, 황금물결 넘치는 논과 주변의 숲은 어느덧 초가을의 풍경이 펼쳐지고 눈으로 보는 사계절 변화를 느낄 수 있어 객지에서 보내는 일상에 큰 위안이 된다.
몇 일전 타계한 산남 김동길(山南 金東吉 1928~2022) 교수의 88세 때 생전 강의 내용(한국인, 우리는 누구인가, 세계사를 통해 본 한국인)에 세월의 흐름을 인생에 빗대어 봄 여름은 여유롭게 가지만 가을부터는 겨울은 빠르게 지나가고 인생의 가을에 해당되는 4,5~60대의 시간은 40은 한 살, 한살이 총알처럼 지나가고 50에서 60은 55세를 헤아리지만 이후의 시간은 7,8,90이 순간처럼 흘러감을 실감 있게 말씀하신 육성이 아직도 생생하다. 한 세대를 같이 했던 노학자의 명강의는 유튜브를 통해서 언제든 경청할 수 있어 참으로 다행하다.
세월의 흐름은 예와 다름없이 하루가 아쉽고 더디 가기를 바라지만 돌아서면 겨울을 맞이하듯이 당 시인 허혼의 조추를 살펴보며 지나온 삶을 관조해 보고자 한다.
조추(早秋 : 이른 가을) 3수(三首)
其一.
遙夜泛淸瑟(요야범청슬) 긴긴밤 청아한 비파소린가 싶었더니
西風生翠蘿(서풍생취라) 가을바람에 사철 푸른 덩굴이 내는 소리
殘螢委玉露(잔형위옥로) 드물어진 반딧불 이슬 사이에 앉아 있고
早雁拂銀河(조안불은하) 기러기는 줄을 지어 새벽하늘을 날아가네
高樹曉還密(고수효환밀) 새벽녘 키 큰 나무 가지 여전히 무성하고
遠山晴更多(원산청갱다) 비 개이자 저 멀리 산들 겹쳐 보이는데
淮南一葉下(회남일엽하) *회남의 나무들은 시든 잎을 떨구고
自覺老烟波(자각노연파) 이 몸은 안개 짙은 물가에서 늙어가네
*회남(淮南 : 당나라의 방진명(方鎭名 : : 당 시대 8節度使가 있던 지역)으로 회수(淮水) 이남 지역을 말하며, 주로 양주(揚州) 일대를 다스렸음)
其二.
一葉下前墀(일엽하전지) 나뭇잎 앞 계단에 하나 둘 떨어지니
淮南人已悲(준남인이비) 회남에 사는 사람은 벌써 슬프다
蹉跎青漢望(차타청한망) 높은 벼슬을 바라나 시간은 흘러가고
迢遞白雲期(초체백운기) 신선이 되고자 하나 요원하기만 한데
老信相如渴(노신*상여갈) 늙어서 믿을 것은 사마상여의 소갈병이요
貧憂曼倩饑(빈우만청기) 가난하여 근심인 것은 동방삭의 굶주림이다
生公與園吏(싱공여원사) *생공과 더불어 속세를 떠나 진리를 찾고자 하나
何處是吾師(하처시오사) 어느 곳에 나의 스승을 찾을 수 있으리오
*상여갈(相如渴 :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소갈병(消渴病 : 지금의 당뇨병)을 앓고 있었기에 ‘상여갈’이라 불렀다)
*생공(生公 : 남북조 때 사람. 호구산(虎丘山)에서 불경(佛經)을 강(講)했으나 믿는 사람이 없어서 돌을 모아 놓고 신도(信徒) 삼아 지극한 이치를 이야기하니 돌들이 모두 머리를 끄덕였다 함)
其三.
薊北雁猶遠(계북안유원) *계북의 기러기는 아직도 멀리 있어
淮南人已悲(회남인이비) 회남에 사는 사람은 이미 슬프진다
殘桃間墮井(잔도간타정) 남아있는 복숭아는 간간히 우물에 떨어지고
新菊亦侵籬(신국역침이) 새롭게 핀 국화 또한 울타리를 감싼다
書劍豈相誤(서검기상오) 서금(文과 武)은 어찌 서로를 헛되이 하는가
琴尊聊自持(금존료자지) 거문고와 술통으로 잠시나마 스스로를 의지하네
西齋風雨夜(서재풍우야) 서재에는 바람 불고 비 내리는 야밤에
更有詠貧詩(갱유영빈시) 다시 가난을 노래하는 영빈시를 읊는다오
*계북(薊北 : 북경(北京) 덕승문(德勝門)의 서북쪽 지역으로, 춘추 전국 시대 연(燕) 나라 지역을 말한다)
허혼(許渾 791 ~ 854년 추정) 당나라 윤주(潤州) 단양(丹陽) 사람으로 조적(祖籍)은 안륙(安陸)이고, 자는 용회(用晦) 또는 중회(仲晦)다. 허어사(許圉師)의 6 세손이다. 문종(文宗) 태화(太和) 6년(832) 진사에 급제하여 도주현령(涂州縣令)과 태평현령(太平縣令)을 지냈는데, 병으로 사직했다. 오랜 뒤에 윤주사마(潤州司馬)로 재기했다. 선종(宣宗) 대중(大中) 연간에 감찰어사(監察御史)가 되고, 우부원외랑(虞部員外郞)과 목주(睦州) 및 영주(郢州)의 자사(刺史)를 지냈다. 나중에 병 때문에 윤주 정묘교(丁卯橋) 촌사(村舍)에 은거했다. 그래서 논집(論集)을 정묘집(丁卯集)이라 했다. 젊어서부터 고학(苦學)하고 병이 많았지만 임천(林泉)을 애호했다. 율시(律詩)에 뛰어났는데, 등고회고(登高懷古)한 작품이 많았다. 만당(晩唐) 시대의 명사(名士)였다.
'삶의 향기 > 차한잔의 여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혜환재 이용휴 방산가(惠寰齋 李用休 訪山家) (0) | 2022.10.21 |
---|---|
포은 정몽주 호중관어 2수(圃隱 鄭夢周 湖中觀魚 2首) (0) | 2022.10.14 |
고운 최치원 증희랑화상 6수(孤雲 崔致遠 贈希朗和尙 6首) (0) | 2022.10.12 |
익재 이제현 소상팔경 시(益齋 李齊賢 瀟湘八景 詩) (0) | 2022.10.06 |
남해 금산 보리암(南海 錦山 菩提庵)과 범종각(梵鐘閣) (0) | 2022.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