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차한잔의 여유

한암선사 오도송, 게송(漢巖禪師 悟道頌, 偈頌)

한암(漢巖) 선사(1876년∼1951년)는 근대의 승려로 본관은 온양(溫陽), 성은 방씨(方氏), 법호는 한암(漢巖), 법명은 중원(重遠), 강원도 화천 출신으로 9세에 서당에서 사략(史略)을 읽다가 반고씨(盤古氏) 이전에 누가 있었는가에 대한 의문을 품었다.

1897년 금강산의 모습이 부처와 보살상을 닮은 것에 감격하여 출가를 결심하였다. 금강산 장안사(長安寺)의 행름선사(行凜禪師)를 모시고 수행하였으며, 이어서 금강산신계사(新溪寺)의 보운강회(普雲講會)에서 수업하다가 보조국사(普照國師)의 수심결(修心訣)을 읽고 깨달음을 얻었다.

 

1899년 김천 청암사(靑巖寺) 수도암(修道庵)에서 경허(鏡虛)가 일러준 금강경 사구게(四句偈)를 듣고 오도(悟道)하였고, 9세 때부터 가졌던 반고씨 이전의 인물’에 대한 회의가 풀렸다.

1905년양산 통도사의 내원선원(內院禪院) 조실(祖室)로 추대되어 후학들을 지도하다가, 1910년 봄에 선승들을 해산시키고 평안도 맹산 우두암(牛頭庵)으로 들어가 깨달음 뒤의 공부를 계속하였다.

같은 해 겨울 부엌에서 불을 지피다가 대오(大悟)하였다.

1925년 서울봉은사(奉恩寺)의 조실로 있다가, 강원도 오대산으로 들어가서 27년 동안 동구 밖을 나오지 않았다.

1941년조계종(曹溪宗)이 출범되었을 때 초대 종정(宗正)으로 추대되어 4년 동안 조계종을 이끌었다.

1951년 1·4후퇴 직전, 그가 주석하고 있던 상원사로 퇴각 중인 국군 장교가 와서 절을 불태울 것을 알리자, 법당으로 들어가 좌정하고 불을 지르라고 하였다. 장교는 그의 인격에 압도되어, 법당의 문짝만을 떼어 불살랐다.

 

제자로는 보문(普門), 난암(煖庵), 탄허(呑虛) 등이 있다. 저서로는 일발록(一鉢錄)이 있었으나 1947년 상원사의 화재 때 소실되었다.

 

오늘날에도 단박에 깨쳐서 경계를 넘어선다는 돈오돈수(頓悟頓修), 한번 깨달음을 얻은 후 늘 갈고닦아야 한다는 돈오점수(頓悟漸修)는 늘 끝없는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암선사께서는 깨침의 경계를 더 높여 진정한 오후(悟後)의 보림(保任)경계를 몸소 보여주신 대표적인 선승이시다.

네 번째 대오(大悟)는 부엌에서 불을 지피다 기존의 경계를 넘어 홀연히 깨친 선사(禪師)의 오도송과 게송(偈頌)을 자서해 보았다.

 

오도송(悟道頌)

着火廚中眼忽明(착화주중안홀명) 부엌에서 불 붙이다 홀연히 눈 밝으니

從玆古路隨緣淸(종자고로수연청) 이로부터 옛길이 인연 따라 청정했네

若人問我西來意(약인문아서래의) 누가 나에게 달마 서래의(西來意)를 묻는다면

岩下泉鳴不濕聲(암하천명불습성) 바위 밑 샘물 소리 그 소리에 젖는 일 없다 하리

 

산고수류(山高水流)

山何高立水何流(산하고립수하류) 산은 어이 높고 물은 어이 흐르는가

兩在十方空裡浮(양재시방공리부) 모든 것이 다 공(空)의 나타남이라네

浮不取空空不浮(부불취공공불부) 일체 현상과 공은 서로가 집착함이 없으니

元無一事掛心頭(원무일사괘심두) 원래 마음에도 걸릴 것이 없도다

 

벽송심곡(碧松深谷)

碧松深谷坐無言(벽송심곡좌무언) 푸른 솔 깊은 골짜기에 말없이 앉았으니

昨夜三更月滿天(작야삼경월만천) 이젯 밤 삼경에 달 하늘에 가득한데

百千三昧何須要(백천삼매하수요) 백천의 삼매경지가 어찌 필요하리오

渴則煎茶困則眠(갈즉전다곤즉면) 목마르면 차 끓이고 피곤하면 잠들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