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차한잔의 여유

자하 신위 시 몇 수(紫霞 申緯 詩 몇 首)

자하 신위(紫霞申緯. 1769~1845)조선 후기 때의 문신이며 서예가, 화가, 시인으로 본관은 평산(平山)이고 자는 한수(漢叟), 호는 경수당(驚修堂). 자하(紫霞). 아버지는 대사헌 대승(大升)이고, 어머니는 이영록(李永祿)의 딸이다. 1799년(정조 23)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해서 초계문신(初啓文臣 : 조선후기 규장각에서 특별한 교육과 연구과정을 밟은 문신)으로 발탁되었다. 1812년(순조12) 진주겸 주청사(陣奏兼奏請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갔는데, 이때 그는 중국의 학문과 문학에 대하여 실지로 확인하면서 자신의 안목을 넓히는 기회로 삼아 후에 중국의 학자 · 문인과의 교유를 돈독히 하였다. 특히, 당대 중국 대학자 옹방강(翁方綱)과의 교유는 그의 문학세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1814년에 병조참지를 거쳐, 이듬해 곡산부사로 나갔다. 이때 피폐한 농촌의 현실을 확인하고 농민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하여 조정에 세금을 탕감해달라는 탄원을 하기도 하였다.

1816년 승지를 거쳐, 1818년에 춘천부사로 나왔다. 이때 그는 그 지방의 토호들의 횡포를 막기 위해 맞서다 파직을 당하기도 했다. 1822년 병조참판에 올랐으나 당쟁의 여파로 다시 파직된 뒤, 곧 복관되어 1828년에는 강화유수로 부임하였다. 그러나 윤상도(尹尙度)의 탄핵으로 2년만에 또다시 물러나 시흥 자하산에서 은거하였다. 1832년 다시 도승지에 제수되었으나 벼슬생활에 환멸을 느낀끝에 사양하여 나가지 않았다. 다음해에 대사간에 제수되어 이에 나아왔으나 경기 암행어사 이시원(李是遠) 강화유수 때의 실정을 거론, 상소함으로써 평산에 유배되었다. 그 뒤 다시 복직되어 이조참판 · 병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글씨 · 그림 및 시로써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는 시에 있어 한국적인 특징을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없어져가는 악부(樂府)를 보존하려 하였는데, 한역한 소악부(少樂府), 시사평(詩史評)을 한 동인론시(東人論詩) 35수와 우리나라의 관우희(觀優戲)를 읊은 관극시(觀劇詩)가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그의 시를 김택영(金澤榮)은 시사적(詩史的)인 위치로 볼 때 500년 이래의 대가라고 칭송하였다. 이러한 그의 영향은 강위(姜偉) · 황현(黃玹) · 이건창(李建昌) · 김택영에 이어져 우리나라 한문학을 마무리하는 구실을 하였다.

 또한, 그림은 산수화와 함께 묵죽에 능하였는데, 이정(李霆) · 유덕장(柳德章)과 함께 조선시대 3대 묵죽화가로 손꼽힌다. 강세황(姜世皇)에게서 묵죽을 배웠던 그는 남종화(南宗畫)의 기법을 이어받아 조선 후기의 남종화의 꽃을 피웠으며, 그의 묵중화풍은 아들 명준(命準) · 명연(命衍)을 비롯, 조희룡(趙熙龍) 등 추사파(秋史派) 화가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 대표적 작품으로 방대도(訪戴圖), 묵죽가 전한다.  또한, 글씨는 동기창체(董其昌體)를 따랐으며, 조선시대에 이 서체가 유행하는데 계도적 구실을 하였다. 저서로는 경수당전고와 김택영이 600여수를 정선한 자하시집(紫霞詩集)이 간행되어 전하여지고 있다.

화(詩畵) 삼절(三絶)로로 유명한 신위(申緯)는 전통적인 유교의 가문에서 성장했으나 그의 작품에는 불교적 성향의 詩들이 많다. 지금까지 신위에게 불교는 왕유(王維)와 소식(蘇軾)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지식축적과 학문적 확장을 위하여 받아들인 것이라고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본고는 신위의 불교적 성향의 시가 많은 시기가 유독 자하산장 은거, 평신진첨사 좌천, 평산유배의 기간으로 실제 신위의 불교적 성향의 시들은 대부분 1830년에서 1834년 사이의 작품들임에 주목하여 당시 신위가 안과 밖으로 처한 개인사적 분한(憤恨)과 99개의 암자가 있었다는 자하산장이라는 은거 장소의 주위 환경과 승려들과의 교유 등의 원인으로 신위가 불교적 성향의 시를 짓게 되었으며 불교에 대한 높은 안목을 엿볼 수 있다.

사고(思考)의 선각자로서 앞선 시대를 살았던 자하 신위의 시를 통해 그의 면모를 살펴보고자 시 몇 수를 자서해 보았다.

 

近日 連得普惠, 善洪二和尙信函(근일 연득보혜, 선홍이화상신함 : 근래 연이어 보혜,선홍 두 화상의 편지를 받다)

心出家庵有髮禪(심출가암유발선) 마음은 출가한 머리 기른 스님

六時供養硯中田(육시공양연중세) 六時마다 양연산방에서 예불하네.

衰年閱盡人情淡(쇠년열진인정담) 늙어서야 인정의 맑음을 모두 보았고

多謝山僧締墨緣(다사산성체묵연) 산승과 맺은 묵연 감사하기 그지없네.

 

승사매(僧舍梅 : 절간에 핀 매화)

變現白衣觀世音(변현백의관세음) 매화가 흰옷 입은 觀世音으로 現身하니

幾生修得到如今(기행수득도여금) 몇 생을 갈고 닦아 지금에 이르렀네

點塵不染皆禪悟(첨진불염개선오) 먼지에 물들지 않아 모두 禪悟의 경지이고

香瓣能圓是佛心(향판능원시불심) 향기로운 봉오리 둥글어 다 불심이로다.

 

憫余之久棲也 有詩十四首 間有語及詩者 卽借原韻 以答其意(금령민여지구기서야 유시입사수 간유어급시자 즉차원운 이답기의 : 기서에 14수의 시가 있어 그중 몇자를 차운하여 그 뜻에 답하다)

悟徹溪山雨雪飛(오철계산우설비) 깨달아 溪山에 들어가니 눈비 날리고,

一年紅紫芳菲(일년홍자투방비) 한 해의 붉은 꽃 보라 꽃이 향그러움을 다투네.

空諸所有開眞面(공제소유개진면) 가진 것 모두 비우니 참모습 드러나고,

古木茫挂落暉(고목창망괘낙휘) 고목엔 아스라이 지는 해 걸렸네.

 

松坡長老(송파장송 : 淸平寺의 主僧 송파장로에게)

十四剃靑髮(십사체청발) 열네 살에 파르라니 머리 깎고

九十眉覆雪(구십미복설) 아흔에 눈썹은 눈처럼 덮혔네.

不識人間書(불실인간서) 인간의 글 알지 못하니

如此更快活(여차경쾌활) 이와 같이 더욱 자유롭네.

 

이 시의 自注에 ‘옛날 楊大年이 어떤 老兵이 햇볕을 등지고 깊이 자는 것을 보고 “참 자유롭네.” 하면서, “너는 글자를 아느냐?” 하고 물으니, 그 노병은 “알지 못합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이에 양대년은 “그러니 더 자유롭네.”하였다. ‘識字’인 양대년이 ‘不識字’인 노병을 연모하는 것으로, “人生識字憂患始”라는 말이 있듯이 사람이 만약 글자를 알아 얽매인다면 글자를 알지 못하는 것만 같지 못하다는 뜻이다. 양대년은 ‘不識字’인 노병을 보며 자신의 처지를 돌아본 것이다. 그러나 노병이 참으로 글자를 몰랐는지는 알 수 없다. 예를 들어 문학적 의미에서 漁父는 ‘隱者’와 ‘不識字’의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어부의 ‘不識字’는 글자를 알지 못한다는 뜻이 아니다. 세상의 풍파를 피해 방랑의 생활과 은자의 삶을 살아감으로 글자를 알되 글자를 쓰지 않는 것이다. 아니 쓸 필요가 없어서 쓰지 않는 것이다. 松坡장로는 淸平寺의 主僧이다. 14세에 파르라니 머리 깎고 90세에 눈썹이 눈처럼 하얗게 덮였는데, 인간 세상의 문자를 알지 못하였다. 그러니 깨우침의 경지에 이르러 얽매임 없이 더욱 자유롭다는 것이다. 여기서 신위는양대년이 ‘不識字’인 노병을 보며 자신의 처지를 돌아본 것처럼 송파 주승을 보고 자신의 처지를 돌아본 것이다. 따라서 언어문자를 거부하는 불립문자(不立文字)의 사상이 바탕에 흐르고 있다. 그러나 송파 주승이 노병이나 어부처럼 참으로 글자를 몰랐는지는 알 수 없다. 그래서 이 시는 언외지미(言外之味)가 있고 시밖의 뜻이 있다.

 

贈 卞僧愛(증변승애 : 젊은 여인 변승애에게)

澹掃蛾眉白苧衫(담소아미백저삼) 초승달 고운 눈썹, 하얀 모시 적삼 입고

訴衷情語鶯呢喃(소충정어앵니남) 마음속 정 둔 말을 꾀꼴꾀꼴 속삭이네

佳人莫問郞年幾(가인막문랑년기) 고운이여! 내 나이가 몇인지는 묻지 말게

五十年前二十三(오십년전이십삼) 내 나이 오십년 전 스물세살 이었다네

 

그에게 한 젊은 여인이 고운 눈길을 보내면서 다가왔다. 기남(畿南) 출신의 변승애(卞僧愛)라는 청순가련형의 참 어여쁘고 지혜로운 여인이었다. 그녀는 붓 시중과 먹 시중을 하면서 자하를 모시기를 진심으로 원했다. 소실(小室)이 되고 싶다는 뜻이다. 그때 자하가 이 젊은 여인에게 지어준 것이 바로 위의 시다.

보다시피 그녀는 곱게 그린 눈썹이 초승달 같은 여인이었다. 그런 여인이 하얀 모시 적삼을 걸쳐 입고, 그 무슨 꾀꼬리처럼 마음속의 사랑을 꾀꼴꾀꼴 속삭이고 있다. 정말 귀엽고 사랑스럽다. 이런 여인을 눈앞에 두고 그윽하게 바라보고 있는 자하의 심정이 묻어나 있지만 이제 내 나이가 일흔 셋이니 차마 받아들일 수가 없다고 거절 하였지만 마음 한편에는 아쉬움과 안타까움이 짙게 깔려있음을 느낄 수 있는 시이다.

 

(국 : 국화 앞에서)

有客同觴固可意(유객동상고가의) 벗이 있어 함께 술잔 기울여야 그게 정말 제격이나

無人獨酌未爲非(무인독작미위비) 벗이 없어 홀로 술잔 기울여도 좋지않다 못하리다

壺乾恐被黃花笑(호건공피황화소) 술병이 바닥을 보이면 노란 꽃이 비웃을까 봐

典却圖書又典衣(전각도서우전의) 책을 먼저 잡히고 또 옷을 잡히러 보내네

 

1839년 국화를 앞에 두고서 시 14편을 지었다. 가을이 짙어가니 그의 '눈앞에 펼쳐진 사물 가운데 시에 어울리지 않는 것이 없다(眼前無物不宜詩).' 노랗게 핀 꽃을 보고 있자니 70세 시인에게 흥분과 낭만의 감정이 물씬 일어난다. 멀리했던 술이 간절하다. 뜻에 맞는 친구가 있어야 술맛이 나는 법, 오늘은 국화가 술친구다. 한 잔 두 잔 기울이다 보니 술병이 벌써 바닥을 보인다. 그만 마신들 누가 뭐라 하겠는가마는 멋이 없다느니, 이젠 늙었다느니 국화가 핀잔을 늘어놓을 것만 같다. 에라! 모르겠다. 책이든 옷이든 전당포에 잡혀서라도 마시자. 오늘은 국화에게 졌다. 무덤덤하게 지내온 일상을 요란하게 깨트린 것은 국화 탓이다. 요즘 어딜가나 노랗게 핀 국화가 만발해 있다. 야외 한적한 장소에서 국화를 보며 홀로 술한잔 기울려 보고싶은 욕망이 절로난다.

 

畵題詩(화제시 : 무명씨가 그린 산수화에 題를 붙인 絶句로 그림속 노인을 본인으로 투영한 듯)

翠壁紅崖初過雨(취벽홍애초과우) 푸른 절벽 단애에 처음으로 비가 지나가니

白雲紅樹變秋時(백운홍수변추시) 흰 구름 단풍나무 가을로 접어들 때

飄然野老一藜杖(표연야노일여장) 표연히 명아주 지팡이 짚은 촌 늙은이

小立溪橋何所思(소립계교하소사) 시냇가 다리에 잠깐 서서 무슨 생각하고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