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차한잔의 여유

서계 박세당 시 춘첩(西溪 朴世堂 詩 春帖)

서계 박세당(西溪 朴世堂. 1629~1703) 조선 후기의 학자, 문신으로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계긍(季肯), 호는 잠수(潛叟)·서계초수(西溪樵叟)·서계(西溪). 박응천(朴應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좌참찬 박동선(朴東善)이고, 아버지는 이조참판 박정(朴炡)이며, 어머니는 양주윤씨(楊州尹氏)로 관찰사 윤안국(尹安國)의 딸이다.

4살 때 아버지가 죽고 편모 밑에서 원주·안동·청주·천안 등지를 전전하다가 13세에 비로소 고모부인 정사무(鄭思武)에게 수학하였다. 1660년에 증광 문과에 장원해 성균관전적에 제수되었고, 그 뒤 예조좌랑·병조좌랑·정언·병조정랑·지평·홍문관교리 겸 경연시독관·함경북도 병마평사(兵馬評事) 등 내외직을 역임하였다.

1668년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를 다녀왔지만 당쟁에 혐오를 느낀 나머지 관료 생활을 포기하고 양주석천동으로 물러났다. 그 뒤 한때 통진현감이 되어 흉년으로 고통을 받는 백성들을 구휼하는 데 힘쓰기도 하였다. 그러나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맏아들 박태유(朴泰維)와 둘째 아들 박태보(朴泰輔)를 잃자 여러 차례에 걸친 출사 권유에도 불구하고 석천동에서 농사지으며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에만 힘썼다.

그 뒤 죽을 때까지 집의·사간·홍문관부제학·이조참의·호조참판·공조판서·우참찬·대사헌·한성부판윤·예조판서·이조판서 등의 관직이 주어졌지만 모두 부임하지 않았다. 1702년에는 이경석(李景奭)의 신도비명(神道碑銘)에서 송시열(宋時烈)을 낮게 평가했다 해서 노론(老論)에 의해 사문난적(斯文亂賊)으로 지탄되기도 하였다.

대내외 정책에 대한 개혁 의식을 가졌던 박세당은 관직을 버린 뒤 논어(論語)·맹자(孟子)·대학(大學)·중용(中庸) 등 사서와 도덕경(道德經) 및 장자(莊子)의 연구를 통해 주자학적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려는 학문적 지향을 취하였다.

박세당은 육경(六經)의 글은 그 생각이 깊고 취지가 심원(深遠)해 본 뜻을 흐트러뜨릴 수 없는 것인데, 후대의 유학자들이 훼손했으므로 이를 바로잡아 공맹(孔孟)의 본지(本旨)를 밝혀야 한다는 뜻에서 사변록(思辨錄)을 저술하였다.

그러나 박세당의 학문은 자유분방하고 매우 독창적이었으며, 스스로 무욕을 실천하는 생애를 보냈지만 정치와 사회 현실에 전연 무관심하지 않고, 비교적 혁신적 사고를 지녔던 소론파(少論派)와 빈번하게 교류하였다.

소론의 거두인 윤증을 비롯해 같은 반남박씨로 곤궁할 때 도움을 준 박세채(朴世采), 처숙부 남이성(南二星), 처남 남구만(南九萬), 최석정(崔錫鼎) 등과 교유하였다. 그리고 우참찬 이덕수(李德壽), 함경감사 이탄(李坦), 좌의정 조태억(趙泰億) 등을 비롯한 수십 인의 제자를 키우기도 하였다. 학문과 행적에 대한 변론은 계속되어 박세당이 죽은 지 약 20년이 지난 1722년(경종 2)에야 문절(文節)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저서로는 서계선생집(西溪先生集)과 대학(大學)·중용(中庸)·논어(論語)·상서(尙書)·시경(詩經) 등의 해설서인 사변록(思辨錄), 그리고 도가에 대한 연구서인 신주도덕경(新註道德經) 1책과 남화경주해산보(南華經註解刪補) 6 책이 전한다. 편저로는 농서(農書)인 색경(穡經)이 전한다.

 

그의 생애를 돌이켜 보면 세상의 불의와 타협치 않고 고결한 삶을 영위한 박세당 선생은 절개가 높은 선비이다 수락산(水落山) 서쪽 오늘날의 장암역 인근 석천동(石泉洞)에서 꼿꼿하게 살면서 스스로를 서계초수(西溪樵叟), 곧 서쪽 개울의 나무꾼이라 했으며, 농부로서 일상을 영위하였다. 그리고 스스로 지은 묘표(墓表)에서 “외롭고 쓸쓸하게 지내며 합치되는 바가 없이 살다 죽을지언정, ‘이 세상에 태어났으면 이 세상에 맞춰 살면서 남들이 선하다고 해 주기만 하면 된다고 여기는 자’에게 끝내 고개 숙이고 마음을 낮추지 않겠다고 생각하였으니, 이는 그 뜻이 그러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소개하고자 하는 서계선생의 시 춘첩은 새해를 맞이하여 태평성대를 바라는 고결한 선비의 심경과 함께 경자년 세두에 그 뜻을 헤아려 보고자 춘첩관련 시 2수를 자서해 보았다.

 

春帖(춘첩 : 새봄을 맞이하며) 其一.

新年喜新年 喜事喜頻頻(신년희신년 희사희빈빈) 새해라, 기쁜 새 해라 기쁜 일 자주 생겨 기뻐했으면

田穀豐登園果好 太平時節作閑人(전곡풍등원과호 태평시절작한인) 풍년 들고 과실이 잘 익어서 태평 시절에 한가한 사람이 되었으면

 

新年好新年 好事好堪誇(신년호신년 호사호감과) 새해라, 좋은 새해라 좋은 일 자랑할 만하면 좋겠네

南里 人歌賡北里 東家翁富鬪西家(남리인가갱북리 동가홍당투서가) 앞 마을 노랫가락 뒷마을에 이어지고 앞, 뒷집 늙은이와 부유함을 다투기를

 

新年樂新年 樂事樂更悏(신년낙신년 낙사낙경협) 새해라, 즐거운 새해라 즐거운 일 더욱 넉넉하여 즐겁기를

家家 舂粟溢囷倉 人人製衣盈箱篋(가가용속일균창 인인제의영상협) 집집마다 찧은 고식 창고에 넘쳐나고 사람마다 지은 옷 궤짝에 가득했으면

 

其二.

靑山不改色(청산불개색) 청산은 푸른빛을 바꾸지 않고

流水不改聲(유수불개성) 유수는 물소리를 바꾸지 않네

唯願主人翁(유원주인옹) 오로지 바라 건대 주인 옹이여!

不改幽棲情(불개유서정) 유유자적 사는 마음 바꾸지 마시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