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타(日陀)스님(1927~1999)은 충남 공주에서 태어났으며, 법명(法名)은 일타(日陀), 호(號)는 동곡(東谷).삼여자(三餘子), 속명(俗名)은 김사의(金思義), 본관(本貫)은 연안(延安)이다. 선(禪)과 교(敎), 율(律)을 두루 통달하셨던 스님으로 언제나 온화한 자비의 미소를 잃지 않으신 존경 받는 대종사(大宗師)이시다. 스님의 오도송(悟道頌)과 열반송(涅槃頌)을 자서해보았다.
오도송(悟道頌)
頓忘一夜過(돈망일야과) 문득 하룻밤을 잊고 지냈으니
時空何所有(시공하소유) 시간과 공간은 어디에 있는가?
開門花笑來(개문화소래) 문을 여니 꽃이 웃으며 다가오고
光明滿天地(광명만천지) 광명이 천지에 가득 넘치는구나
열반송(涅槃頌)
一天白日露眞心(일천백일로진심) 하늘 한가운데 밝은 해가 참마음을 드러내니
萬里淸風彈古琴(만리청풍탄고금) 만리에 청풍이 옛 거문고를 타는구나
生死涅槃曾是夢(생사열반증시몽) 생사와 열반 일찍이 꿈이거늘
山高海闊不相侵(산고해활불상침) 산 높고 바다 넓어 서로 거리낌이 없나니
동곡 일타화상(東谷 日陀和尙)은 1928년 9월2일(음력 8월1일) 충남 공주에서 부친 김봉수 선생과 모친 김상남 여사의 2남2녀 중 3남으로 출생했다. 속명은 김사의(金思義). 공주 본정공립보통학교 졸업. 1942년 양산 통도사에서 고경스님을 은사로 출가 득도했다.
1943년 통도사에서 자운스님을 계사로 사미계를 수지하고, 1945년 통도사립중학교를 졸업했다. 1949년 통도사 불교전문강원 대교과를 졸업하고, 같은 해 범어사에서 동산스님을 계사로 비구계와 보살계를 수지했다. 이후 응석사, 범어사, 성주사 선원에서 금오, 동산, 성철스님 회상에서 안거를 성만했다.
1953년 통도사 천화율원 자운율사 회상에서 율장전서를 열람하고 중수계법을 정립했다. 1954년 하안거 해제 후 7일간 3000배 기도를 하고 연지연향(燃指燃香) 발원을 했다.
1955년 태백산 도솔암에서 결사 정진한 것을 비롯해 화엄사, 해인사, 극락암, 불국사, 지족암, 칠불암 등 제방 선원에서 수행했다.
조계종 중앙종회의원, 교육위원, 법규위원, 감찰위원, 역경위원, 우리말 팔만대장경 편찬위원, 해인총림 율원장, 해인사 주지 등의 소임을 보았다. 또한 단일계단 전계대화상, 조계종 원로의원, 해인총림 수좌, 율주, 조계종 전계대화상, 은해사 조실로 스님과 불자들을 인도했다.
1999년 11월 29일(음력 10월22일) 미국 하와이 와불산 금강굴에서 입적했다. 세수 71세, 법납 58세. 법명은 일타(日陀), 법호는 동곡(東谷), 삼여자(三餘子), 퇴설(堆雪)이다.
'삶의 향기 > 차한잔의 여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현명 제석감음(趙顯命 除夕感吟) (0) | 2015.02.23 |
---|---|
오경화 대주유감(吳擎華 對酒有感) (0) | 2015.02.17 |
정탁 귀전원(鄭琢 歸田園) (0) | 2015.02.16 |
야보도천 선시 산당정야..(冶父道川 禪詩 山堂靜夜..) (1) | 2015.02.16 |
고계 심호은군(高啓 尋胡隱君) (0) | 201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