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마다 찾는 국립세종수목원은 산림청 주관으로 세종특별자치시 세종동 일원의 중앙녹지공간 내 65ha의 면적에 조성 중인 수목원이다. 2020년 5월에 준공하였고 편의시설을 확충하여 2020년 10월 개장하였다. 주제별로 구성된 전시원에는 2,450종 약 110여 만 본의 식물이 심어져 있다.
세종시민을 위한 휴식공간이자 산림식물의 전시, 원예, 조경 중심으로 한국정원의 특성과 아름다움을 브랜드화하여 볼거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식물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때마침 분재전시회도 열려 쾌청한 날씨와 함께 가을 정취를 느껴보는 즐거운 시간을 가졌으며, 수목원의 아름다운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보았다. 세종시민 뿐만 아니라 수목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한 번쯤 시간을 내어 세종수목원 방문을 적극 권하고 싶다.
국립세종수목원
분재와 관련하여 우리나라 문헌에 기록된 최초의 한시는 고려 말 전녹생(田祿生)이 8세 때 화분에 옮겨 심은 소나무 분재를 보며 읊은 영분송(詠盆松)을 살펴보고자 행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영분송(詠盆松)
山中三尺歲寒姿(산중삼척세한자) 산 속의 석자(약 90Cm)나무 풍상 겪은 그 모습
移托盆心亦一奇(이탁분심역일기) 화분에 옮겨 심었더니 그 모습 한번 기이하네
風送濤聲來枕細(풍송도성래침세) 바람은 속삭이듯 베갯머리에 와서 닿고
月牽疎影上窓遲(월견소영상창지) 가지에 걸린 달은 창에 뜨기 더디어라
枝盤更得栽培力(지반갱득재배력) 힘들여 가꾸기에 새 가지 돋아나고
葉密曾沾雨露私(엽필증점우로사) 이슬비 흠뻑 젖어 잎마저 무성하네
他日棟樑雖未必(타일동량수미필) 동량의 재목 될지는 두고 봐야 알겠지만
草堂相對好襟期(초당상대호금기) 서재에서 마주 보면 마음이 통한다네
전록생(田祿生 1318 ~ 1375)은 고려의 문신으로 본관은 담양(潭陽). 자는 맹경(孟耕). 호는 야은(埜隱)이다.
충혜왕(忠惠王) 때 급제하여 제주사록(濟州司錄)·전교교감(典校校勘)을 지냈다. 1350년(충정왕2) 정동향시(征東鄕試)에 합격했다. 1357년(공민왕6) 기거사인(起居舍人)으로 간의(諫議) 이색(李穡), 사간(司諫) 이보림(李寶林), 정추(鄭樞) 등과 함께 염철별감(鹽鐵別監)의 폐단을 극론(極論)했고, 이 해에 전라도 안렴사(安廉使 : 고려 시대 도(道)의 장관)가 되었고, 11월에 왕이 홍건적의 난으로 남순(南巡)하게 되자 시어사(侍御史)로 왕을 호종했다.
1362년 전리총랑(典理摠郞)이 되고, 벼슬을 여러 번 옮겨 좌상시(左常侍 : 고려 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정 3품 관직)가 되었다. 이듬해 감찰대부(監察大夫)로 원나라에 가서 황태자에게 예물(禮物)을 드리고 돌아와 밀직지학(密直指學)이 되고 나중에 계림윤(鷄林尹)에 제수되었다. 그 후 경상도 도순문사(慶尙道都巡問使)가 되었고 정당문학(政堂文學 : 고려와 조선시대 국가 행정을 총괄하던 관직)을 제수받았다. 1371년에는 이색이 지공거(知貢擧)가 되고, 그는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진사를 선발하였다.
1373년 다시 정당문학(政堂文學)이 되고 강녕부원대군(江寧府院大君:禑王)의 사부가 되었으며, 다음 해는 개성부사(開城府事) 경상도 도순문사(慶尙道都巡問使)가 되었고, 추화찬화보리공신(推化贊化輔理功臣)의 호(號)를 받았다. 1375년(우왕1) 간관(諫官) 이첨(李詹) 전백영(田伯英)과 함께 원의 배척과 이인임(李仁任)의 목을 벨 것을 청하니 왕이 이첨과 전백영을 옥에 가두고, 최영과 지윤을 시켜 국문하게 하였다. 이들의 말이 박상충(朴尙衷)과 전녹생에게 관련되므로 최영이 이들을 국문하고 귀양을 보냈는데, 모두 가던 도중 죽었다.
작품은 시 10수, 비답(批答:왕을 위해 지은 글) 1편, 주(奏) 1편, 소(疏) 2편이 있다. 1677년(숙종3) 장흥(長興)의 감호사(鑑湖祀)에 제향(祭享). 조선 후기에 그의 후손들이 여러 문헌에서 시편과 관계되는 글들을 모아 야은선생일고(埜隱先生逸稿) 6권 2책을 내었다.
(축소정원조경)
'삶의 향기 > 차한잔의 여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악 의첨 폐강(仁嶽 義沾 廢講) (0) | 2023.10.19 |
---|---|
산청 지리산 대원사(山淸 智異山 大源寺) (0) | 2023.10.18 |
청천 신유한 적천사과방장영선사(靑泉 申維翰 磧川寺過方丈英禪師) (0) | 2023.10.13 |
굉지정각 묵조명(宏智淨覺 默照銘) (0) | 2023.10.12 |
자랑스러운 한글창제 훈민정음(訓民正音) (0) | 2023.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