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소개한 바 있는 환성지안(喚醒志安 )은 조선후기 환성파(喚醒派)의 시조(始祖)이자 대흥사 6대 종사(宗師)로 선교겸수(禪敎兼修)한 당대 대표적 화엄강사(華嚴講師)이다.
그가 남긴 선시(禪詩)는 대오선각자(大悟先覺者)로서의 진면목(眞面目)이 그대로 느껴지기에 봄을 기다리는 마음에서 행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呼韻(호운 : 운자를 불러 읊다)
![](https://blog.kakaocdn.net/dn/cbo48I/btrpSkmyxZ5/g6VS6CJ3HfV4QWjAjwOt1k/img.jpg)
壁破南通北(벽파남통북) 벽은 무너져 휑하니 뚫려 있고
叔躪眼近天(숙린안근천) 처마도 성글어 하늘이 가깝네
莫謂荒凉苦(막위황량고) 황량하고 괴롭다 말하지 말라
迎風得月先(영풍득월선) 바람과 달이 먼저 알고 찾아 오누나
春吟(춘음 : 봄을 읊다)
![](https://blog.kakaocdn.net/dn/Bv6YQ/btsDkHB3tWo/jGRNKEEcdwhVkg7kruIOJ0/img.jpg)
緤杖尋幽逕(설장심유경) 지팡이 고삐 잡고 그윽한 길 찾아
徘徊獨賞春(배회독상춘) 홀로 배회하며 봄을 즐긴다
歸來香滿袖(귀래향만수) 소매에 꽃 향기 가득 채워 돌아오는데
胡蝶遠隨人(호접원수인) 나비가 멀리서 나를 따라오네
'삶의 향기 > 차한잔의 여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암 박지원 연암억선형(燕巖 朴趾源 燕巖憶先兄) (0) | 2022.01.13 |
---|---|
향곡 혜림대종사 게송 몇 수(香谷 蕙林大宗師 偈頌 몇 首) (0) | 2022.01.11 |
연암 박지원 전가(燕巖 朴趾源 田家) (0) | 2022.01.05 |
만해 한용운 설야(卍海 韓龍雲 雪夜) (0) | 2022.01.04 |
목은 이색 시 소우, 제목암권(牧隱 李穡 詩 小雨, 題牧蓭卷) 2수 (2) | 2021.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