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차한잔의 여유

입춘 관련 한시 2수 : 도은 이숭인 입춘일소작(陶隱 李崇仁 立春日小酌), 후팽로 인일입춘(候彭老 人日立春)

삼한사온(三寒四溫)이 지난 청명한 날씨, 따스한 봄볕을 등에 지고 먼 산을 바라보면 봄기운이 완연하다.
입춘을 목전에 둔 날이기에 봄을 벌써 우리 곁에 조용히 다가오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입춘(立春)은 24 절기 중 첫째 절기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절기로 보통 양력 2월 4일경에 해당한다.
입춘은 음력으로 주로 정월에 드는데, 어떤 해는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드는 때가 있다. 이럴 경우 ‘재봉춘(再逢春)’이라 한다.
입춘이 되면 도시 시골 할 것 없이 각 가정에서는 기복적인 행사로 입춘축(立春祝)을 대문이나 문설주(門楔柱 : 문짝을 끼워달려고 중방과 문지방 사이 문의 양편에 세운 기둥)에 붙인다. 입춘축을 달리 춘축(春祝)·입춘서(立春書)·입춘방(立春榜)·춘방(春榜)이라고도 한다. 입춘축은 글씨를 쓸 줄 아는 사람은 자기가 붙이고, 글씨를 쓸 줄 모르는 사람은 남에게 부탁하여 써서 붙인다. 입춘이 드는 시각에 맞추어 붙이면 좋다고 하여 밤중에 붙이기도 하지만 상중(喪中)에 있는 집에서는 써 붙이지 않는다. 입춘축을 쓰는 종이는 글자 수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가로 15센티미터 내외, 세로 70센티미터 내외의 한지를 두 장 마련하여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외에 한지를 마름모꼴로 세워 ‘용(龍)’자와 ‘호(虎)’자를 크게 써서 대문에 붙이기도 한다.
입춘축은 대개 정해져 있으며 두루 쓰는 것은 다음과 같이 대구(對句)·대련(對聯)·단첩(單帖 : 단구로 된 첩자)으로 되어 있다. 입춘날 붙이는 대구를 보면 ‘국태민안 가급인족(國泰民安 家給人足 : 나라는 태평하고 국민은 편안하고, 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들은 풍족하다)’, ‘문신호령 가금불상(門神戶靈 呵噤不祥 : 대문의 신과 집의 신령이 지켜 불길함을 물리친다)’, ‘우순풍조 시화년풍(雨順風調 時和年豊 : 비바람 순조로우니 시절이 평화롭고 풍년이다)’ 등이며, 대련을 보면 ‘거천재 내백복(去千災 來百福 : 천 가지 재앙은 물러나고 백복이 들어온다)’, ‘수여산 복여해(壽如山 福如海 : 수명을 산과 같고 복은 바다와 같다)’,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 입춘 날 대길하니 밝은 기운 받아들여 경사가 많이 찾아온다)’, ‘개문만복래 소지황금출(開門萬福來 掃地黃金出 : 문을여니 만복이 들어오고 땅을 쓰니 황금이 나온다)’, ‘계명신세덕 견폐구년재(鷄鳴新歲德 犬吠舊年災 : 닭울음 새해 덕을 부르고 개 짖는 소리는 지난해 재앙을 물리친다)’ 등이다. 단첩(單帖)으로는 ‘상유호조상화명(上有好鳥相和鳴 : 하늘에는 길한 새들이 서로 조화롭게 노래한다)’, ‘일진고명만제도(一振高名滿帝都 : 이름 더 높여 도성에 명성이 가득 차다)’, ‘일춘화기만문미(一春和氣滿門楣 : 봄의 화사한 기운이 문에 가득 차다)’, ‘춘광선도길인가(春光先到吉人家 : 봄빛 먼저 이르니 길인의 집이로다)’, ‘춘도문전증부귀(春到門前增富貴 : 봄이 문 앞에 당도하니 부귀가 쌓인다)’ 등을 붙인다. 입춘축은 붙이는 곳에 따라 내용이 다르다. 큰방 문 위의 벽, 마루의 양쪽 기둥, 부엌의 두 문짝, 곳간의 두 문짝, 외양간의 문짝에 붙이는 입춘축은 각기 다르다.
 
옛날 대궐에서는 입춘이 되면 내전 기둥과 난관에 문신이 지은 연상시(延祥詩 : 상서로움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새해를 축하하는 송축시) 중에 좋은 것을 뽑아 연잎과 연꽃무늬를 그린 종이에 써서 붙였는데, 이를 춘첩자(春帖子)라 하였다. 『경도잡지(京都雜志)』에 의하면, 입춘이 되기 열흘 전에 “승정원에서는 초계문신(抄啓文臣 : 당하문관 중에서 문학에 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뽑아서 다달이 강독·제술의 시험을 보게 하던 사람)과 시종신(侍從臣 : 조선시대에 국왕을 모시던 관직)에게 궁전의 춘첩자를 지어 올리게 하는데, 패(牌)로써 제학(提學)을 불러 운(韻) 자를 내고 채점하도록 한다.” 하였다. 춘련을 써서 붙이게 된 유래는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입춘날에는 의춘(宜春) 두 자를 써서 문에다 붙인다”라고 하였으니 지금의 춘련(春聯)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고 하였다. 입춘날 관상감(觀象監 : 조선시대 천문·지리학·역수·측후·각루 등의 사무를 맡아보던 관청)에서는 주사(朱砂 : 붉은색 안료)로 벽사문(辟邪文 : 요사스러운 귀신을 물리치기 위하여 쓴 글)을 써서 대궐 안으로 올리면 대궐 안에서는 그것을 문설주에 붙이는데, 이를 입춘부(立春符)라 한다.
붙이는 방법은 두 문구를 팔(八)자 형태로 붙이며 길상의 뜻을 가졌기에 오래도록 붙여 두기도 한다.
입춘방 문구는  앞서 살펴본바 있다. https://poslink.tistory.com/82.
 
봄소식은 누구나 반겨 기다리는 좋은 소식이다. 머지않아 매화, 벚꽃, 개나리, 진달래, 목련이 피어나고 만물이 소생하는 싱그러운 세상이 곧 다가올 것이다.
입춘관련 한시 2수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입춘일소작(立春日小酌 : 입춘 날에 술을 조금 마시다)  도은 이숭인(陶隱 李崇仁)

飄飄千里客(표표천리객) 천리를 떠도는 나그네에게
草草一年春(초초일년춘) 또 다른 봄이 되니 서글퍼져서
白愛村醪濁(백애촌료탁) 시골 탁주의 흰색이 좋아지고
靑看野菜新(청간야채신) 새로 난 나물의 푸름이 보이네.
感時仍自嘆(감시잉자탄) 세월 느끼니 절로 탄식이 일고
更事漸如神(경사점여신) 세상일은 점점 신비로워지네.
田父襟懷好(전부금회호) 농부가 품은 마음씨가 좋아서
相從擬卜隣(상종의복린) 이웃처럼 서로 어울리고 싶네.
 
예로부터 입춘과 가까운 음력 1월 7일을 인일(人日)이라 하여 사람을 소중히 여기는 관습이 전해져 왔다. 인일(人日)은 사람 날이라 하여, 이 날은 일을 하지 않았으며, 아침에는 7가지 채소 국을 끓여 먹기도 했으며, 나라에서는 이 날에 과거시험을 보기도 하였다. 지금은 거의 완전히 사라진 풍속이지만 정초에는 남의 집에 가서 유숙하지 않고, 특히 인일(人日)에는 밖에서 잠을 자지 않았다 하며, 충청북도에서는 이날 객이 와서 묵고 가면 그 해는 연중 불운이 든다고 믿었다.
 
인일입춘(人日立春) 후팽로(候彭老)

朝來煮菜往鞭牛(조래자채왕편우) 인일날 아침에 채소 국에, 소 몰고 나가니
已覺江邊雪意休(이각강변설의휴) 이미 강변에는 눈 내릴 듯 스산하고
習習東風收雨脚(습습동풍수우각) 가벼운 봄바람은 굵은 빗줄기를 거두어 주네.
暄暄曉日綻雲頭(훤훤효일탄운두) 따스한 아침 해 구름 사이로 빛나고
尊前未放梅花老(준전미방매화노) 술 동이 앞 피다 만 매화는 시드는데
鬢上先看柳帶柔(빈상선간유대유) 어느 듯 머리 위 버들가지 하늘하늘 거리네
及取春花時一醉(급취춘화시일취) 봄 꽃피는 시절 맞추어 취하 노니
莫教沈瘦更清秋(막교침수경청추) 수척하다 하지 마오 마음은 맑은 가을 같다오.
 
후팽노의 인일입춘 시는 해석이 어렵다. 오직 작자의 마음을 읽어야 제대로 된 시의(詩意)를 느낄 수 있다.
후팽로(侯彭老, 생졸연대 미상)는 남송(南宋)의 항산현(恒山縣) 사람으로 자는 사유(思孺), 호는 성옹(醒翁)이다. 원우원년(元祐元年. 1086년) 전후의 문인으로 직설적이며 강직한 성품을 지녔으며, 시는 물론 가사에 능하였다. 원부 4년(元符四年 1101년), 태학생상서(太學生上書)의 글을 쓰고 함부로 말을 한 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옥고를 치른 후 고향으로 돌아가 답사행(踏莎行)을 지어 죄가 없음을 알리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쓸쓸히 생애를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