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거의 사용하지 않는 이름 외 다른 호칭으로 자(字)와 호(號)를 사용하여 서로 허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지은 것을 아호(雅號), 별호(別號), 당호(堂號)라고 한다. 현재는 서예나 동양화에는 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유래는 피휘(避諱 : 군주나 조상의 이름에 쓰인 글자를 사용하지 않는 것)에서 찾을 수 있으며 중국 당나라 때부터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조선시대에는 널리 사용하였다. 신라의 최치원(崔致遠)의 호는 고운(孤雲)으로 구름운(雲) 자는 이름에는 피하지만 호(號)에는 길자(吉字)로 여겨지기에 지금도 많이 사용하는 자이다.
아호(雅號)는 흔히 詩 · 文 · 書 · 畵의 작가들이 사용하는 우아한 호라는 뜻이며, 당호(堂號)는 본래 집(正堂과 屋宇)의 호를 말함이나, 그 집의 주인을 일컫게도 되어 아호와 같이 쓰이기도 한다.
호를 짓는 기준에 대해 이규보(李奎報)는 그의 백운거사어록(白雲居士語錄)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다. “거처하는 바를 따라서 호로 한 사람도 있고, 그가 간직한 것을 근거로 하거나, 혹은 얻은 바의 실상을 호로 한 사람들도 있었다.” 여기서 세 가지 기준을 볼 수 있는데, 신용호(申用浩)는 이 세 가지 기준에, “자신이 목표로 삼아 도달한 경지나 지향하고자 하는 목표와 의지에 따라서 호를 짓기도 한다.”는 한 가지를 더하여, 네 가지 기준으로 들어 말한 바 있다.
① 소처이호(所處以號):생활하고 있거나 인연이 있는 처소로 호를 삼는 것
② 소지이호(所志以號):이루어진 뜻이나 이루고자 하는 뜻으로 호를 삼는 것
③ 소우이호(所遇以號):처한 환경이나 여건을 호로 삼는 것
④ 소축이호(所蓄以號):간직하고 있는 것 가운데 특히 좋아하는 것으로 호를 삼는 것 등의 네 가지가 곧 그것이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스스로 호를 짓기도 하고, 부모나 스승 · 친구가 호를 지어주기도 하여, 사람에 따라서는 한 사람이 여러 가지의 호를 쓰기도 하며 아호 뒤에 거사(居士), 초부(樵夫), 학인(學人), 노인( 老人)을 붙이기도 한다.
아호는 여러 개를 사용하는데 고려시대의 이규보(李奎報)는 여섯 개의 호를 갖고 있는데 ‘백운거사(白雲居士)’ · ‘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 · ‘지지헌(止止軒)’ · ‘사가재(四可齋)’ · ‘자오당(自娛堂)’ · ‘남헌장로(南軒丈老)’ 등이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은 수의 다양한 호를 사용한 이는 김정희(金正喜)이다. 오제봉(吳濟峯)이 조사, 수집한 추사선생아호집(秋史先生雅號集)에 의하면 익히 알고 있는 추사(秋史), 완당(阮堂) 외 무려 503개나 되고 김정희의 호에 ‘향각자다처로향각노인(香閣煮茶處鱸香閣老人)’의 10자의 것도 있다.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호의 사용이 옛날과 같이 성행되지 않고 더러는 호라는 말 대신에 필명(筆名)이라 일컫기도 하며 인터넷의 발달로 이름대신 ID(identification)를 사용한다.
아호는 본인이 직접 짓거나 학자, 스승 등 지체 높은 어르신이 직접 지어주기도 하는데 간단히 아호의 작법(作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뜻이 있는 문자를 사용하여야 하며, 직업이나 성격에 알맞은 문자를 선택하거나 부르기 쉽고 듣기 좋아야 함은 물론 음양오행(陰陽五行)에 서로 상극되는 경우를 피하는 것이 좋다.
또 두 글자의 획수를 합하여 길한 수리(數理)로 사용하며, 품위가 있고 글자의 뜻이 좋아야 함은 물론이다.
나 또한 오래전 한학자로부터 2개의 호를 받았는데 하나는 지금 사용하고 있는 화강(華岡)과 춘경(春耕)인데 춘경 호는 내 나이 70이 넘어서면 사용할 것이다.
하루가 다르게 완연한 봄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다. 매일 오르는 영종도 백운산에도 개나리 진달래가 시들어 가지만 나무 가지마다 연초록의 장관이 눈앞에 다가온다. 변해가는 주변의 봄 풍경과 함께 펼쳐지는 보이는 모든 대자연의 모습이 경이롭고 신비롭다.
소개할 한시는 이우당 조태채(二憂堂 趙泰采)의 봄 관련 한시 2수 춘경(春耕), 망신루(望宸樓)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춘경(春耕 : 봄 밭갈이)
茶煙乍歇午鷄鳴(차연사헐오계명) 차 달인 연기 그치니 낮 닭이 울어대고
睡罷閒窓霽景明(수파한창제경명) 깨어보니 한가한 창에 비 개인 경치 선명하네.
野外春耕知不晩(야외춘경지부만) 들 밖엔 봄갈이가 늦지 않았는데도
隔籬時聽叱牛聲(격리시청질우성) 울타리 너머 때때로 들려오는 소모는 소리
망신루(望宸樓)
移舟獨上望宸樓(이주독상망신루) 배에서 내려 홀로 망신루에 오르니
細草閒花一徑幽(세초한화일경유) 풀과 꽃 사이로 좁은 길 그윽하게 이어지고.
借問主人何處去(차문주인하처거) 묻노니 이 누각 주인은 어디를 갔는고
無心惟有泛江鷗(무심유유범강구) 오직 갈매기만 무심히 강물에 떠 있을 뿐...
이우당 조태채(二憂堂 趙泰采. 1660~1722)는 조선 후기 한성부판윤, 판의금부사,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으로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유량(幼亮), 호는 이우당(二憂堂)이다. 조존성(趙存性)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형조판서 조계원(趙啓遠)이고, 아버지는 괴산군수 조희석(趙禧錫)이다. 어머니는 백홍일(白弘一)의 딸이다.
1686년(숙종 12) 별시문과에 종형 태구와 함께 병과로 급제하였다. 내직으로 승문원의 정자 · 저작 · 박사와 성균관의 전적 · 직강, 사헌부의 감찰 · 지평 · 대사헌, 사간원의 정언 · 헌납 · 대사간, 홍문관의 수찬 · 교리, 승정원의 동부승지, 장례원의 판결사, 한성부의 판윤, 그리고 육조의 판서, 좌참찬 겸 판의금부사 등을 거쳐, 1717년 좌의정에 이르고 판중추부사에 전직하였다.
외직으로는 옥구현감 · 공주목사 · 평안감사 등을 역임하였다. 1713년 동지사(冬至使)로, 1720년(경종 즉위년) 사은사(謝恩使)로 두 차례 청나라에 다녀온 바 있다. 도량이 크고 사려가 깊으며 해학을 즐겨 담론을 잘했고, 풍채가 썩 훌륭했다고 한다.
그러나 소론(少論)인 우의정 조태구의 지휘를 받은 사직(司直) 유봉휘(柳鳳輝)의 건저반대소(建儲反對疏)와 좌참찬 최석항(崔錫恒)의 대리청정 환수(還收)를 청하는 소 등 소론의 적극적인 반대로 대리청정의 명이 철회되고 건저를 주장했던 노론세력이 대거 정계에서 제거되기에 이르렀다.
특히 이해 전 승지 김일경(金一鏡)이 올린 노론(老論) 4 대신 축출의 소가 승정원에서 채택되어 판중추부사로 있던 그도 그중 한 사람으로 진도에 유배되고 다음 해 적소에서 사사(賜死)되었다.
노론 4 대신의 한 사람으로 다양한 경력이 말하듯, 정적도 추종자도 많다. 그렇지만 어느 한쪽에 크게 기울어짐이 없이 끝까지 대의를 따르려 하여 세인의 칭송을 얻었다.
과천의 사충서원(四忠書院)과 진도의 봉암사(鳳巖祠)에 제향(祭享)되었다. 저서로 이우당집((二憂堂集)이 있으며,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주변의 봄 풍경)
'삶의 향기 > 차한잔의 여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 시인 좌위 춘만(宋 詩人 左緯 春晩) (0) | 2025.04.23 |
---|---|
매월당 김시습 관소(梅月堂 金時習 灌蔬) (0) | 2025.04.22 |
금강경 사구게(金剛經 四句偈) (0) | 2025.04.16 |
소식 춘야/춘소(蘇軾 春夜/春宵) (0) | 2025.04.15 |
두보 춘일강촌(杜甫 春日江村) 5수 (1)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