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난설헌(許蘭雪軒, 1563-589) 본관 양천(陽川), 호는 난설헌(蘭雪軒). 별호 경번(景樊). 본명 초희(楚姬). 명종 18년(1563년) 강원도 강릉(江陵)에서 출생하였다. 홍길동전의 저자인 허균(許筠)의 누나이다.
이달(李達)에게 시를 배워 8세 때 이미 시를 지었으며 천재적인 시재(詩才)를 발휘하였다. 1577년(선조 10) 15세 때 김성립(金誠立)과 결혼하였으나 원만하지 못했다고 한다.
연이어 딸과 아들을 모두 잃고 오빠 허봉(許峯)이 귀양을 가는 등 불행한 자신의 처지를 시작(詩作)으로 달래어 섬세한 필치와 여인의 독특한 감상을 노래했으며, 애상적 시풍의 특유한 시 세계를 이룩하였다.
허난설헌이 죽은 후 동생 허균이 작품 일부를 명나라 시인 주지번(朱之蕃)에게 주어 중국에서 시집 난설헌집이 간행되어 격찬을 받았고 1711년 분다이야 지로(文台屋次郞)에 의해 일본에서도 간행되어 일반인에게도 널리 애송되었다.
선조 22년(1589년) 27세로 요절하였으며 유고집에 蘭雪軒集이 있다.
작품으로는 시에 유선시(遊仙詩), 빈녀음(貧女吟), 곡자(哭子), 망선요(望仙謠), 동선요(洞仙謠), 견흥(遣興) 등 총 142수가 있고, 가사(歌辭)에 원부사(怨婦辭), 봉선화가 등이 있다.
허난설헌은 불행한 시집살이를 이어가다 결국 27세에 생을 마감하게 되는데 자신의 죽음을 예감하고 부용꽃 스물일곱 송이가 서리에 맞아 붉게 떨어지는 것에 비유하여 몽유광상산시(夢遊廣桑山詩, 꿈에 광상산에서 노닐다)와 한 많은 삶을 짧게 살다 간 그녀가 남긴 시 몇 수를 살펴보고자 한다.
몽유광상산시(夢遊廣桑山詩 : 꿈에 노닐던 광상산)
벽해침요해(碧海侵瑤海) 푸른 바닷물이 요해(흰 옥구슬 바다)에 스며들고
청난의채난(靑*鸞倚彩鸞) 파란 난새는 채색 난새와 어울렸구나
부용삼구타(芙蓉三九朶) 부용 꽃 스물일곱(3x9=27) 송이 시들어
홍수월상한(紅墮月霜寒) 떨어진 붉은 꽃은 달빛 서리에 차갑네
*난새란(鸞) : 중국 전설에 나오는 봉황과 비슷한 상상의 새로 붉은빛에 오채(五彩)가 섞이고 오음(五音)을 낸다고 함.
허난설헌은 방 하나가 가득 찰 정도로 시문을 많이 썼다고 하는데 죽으면서 다 태워버리게 하여 허균에게 주었던 시가 남겨져 허균이 보강하여 시문집을 만들었다고 한다.
허난설헌의 시 세계는 후대의 연구자들에 의해 몇 가지로 분류하여 설명되는데 먼저 가난한 백성의 삶을 동정하고 고발하는 시들을 들고 있다. 대표적인 작품이 貧女吟(빈녀음)으로 밤늦도록 베를 짜며 추운 밤 손 곱아가며 시집가는 옷을 짓지만 자신은 입어 보지도 못하고 해마다 독수공방해야 하는 빈녀의 슬픔과 한을 생생하게 노래하고 있다.
빈녀음(貧女吟 : 가난한 여인이 읊음)
夜久織未休(야구직미휴) 밤늦도록 쉬지 않고 베를 짜니
戞戞鳴寒機(알알명한기) 삐걱삐걱 베틀 소리 차갑게 울리네
機中一匹練(기중일필련) 베틀에 있는 한필의 옷감
終作阿誰衣(종작아수의) 다 짜고 나면 누군가의 옷이 되겠지
手把金剪刀(수파금전도) 손에 쇠 가위를 잡았는데
夜寒十指直(야한십지직) 밤이 추워 열 손가락 입김으로 불어 펴고
爲人作嫁衣(위인작가의) 남이 시집갈 때 입는 옷 지으며
年年還獨宿(년년환독숙) 해마다 나는 홀로 자야 하네
또 허난설헌은 자신에게 가혹한 봉건사회의 남존여비 세상에서 벗어나 그녀가 갈망한 선계(仙界)를 노래하는 시도 많이 썼다고 한다. 허난설헌의 생애는 너무나 불우하고 박복한 삶을 살았다. 이런 삶에 대해 천여재 천불여행(天與才 天不與幸 : 하늘은 재능을 주고서는 행운을 주지 않았다)로 간명하고 절묘한 표현이라 할만하다. 소개하고자 하는 그녀의 시는 유선사(遊仙詞) 87수 가운데 늦봄 비속에 향기 가득한 신선의 세계를 노래한 모춘(暮春)을 행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모춘(暮春 : 저무는 봄)
烟鎖瑤臺鶴未歸(연쇄요대학미귀) 연기는 요대를 감싸며 학은 돌아오지 않고
桂花陰裏閉珠扉(계화음리폐주비) 계수나무 꽃그늘에 구슬 사립문은 잠겨 있네.
溪頭盡日神靈雨(계두진일신령우) 시냇가에 종일 신령한 비 내리니
滿地香雲濕不飛(만지향운습불비) 땅에 자욱한 향기로운 구름은 젖어 날지 못하네.
'삶의 향기 > 차한잔의 여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류시인 황진이 시 별김경원, 영반월(黃眞伊 詩 別金慶元, 詠半月) (0) | 2018.09.19 |
---|---|
여류시인 신사임당 시 사친, 읍별자친(申師任堂 詩 思親, 泣別慈親) (0) | 2018.09.19 |
여류시인 조씨 시 야행(女流詩人 曹氏 詩 夜行) (0) | 2018.09.11 |
여류시인 이씨 시 석조(女流詩人 李氏 詩 夕照) (0) | 2018.09.11 |
여류시인 김호연재 시 형제공차서모명자절(女流詩人 金浩然齋 詩 兄弟共次庶母明字絶) (0) | 2018.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