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차한잔의 여유

이규보 산석영정중월(李奎報 山夕詠井中月)

백운거사 이규보(白雲居士 李奎報 1168~1241) 고려 중기 문신이자 문인인 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은 앞서 소개하였기에 생략토록 하겠으며, 경전(經典과 사기(史記), 선교(禪敎)를 섭렵한 당대의 명문장가가 지은 영정중월(詠井中月)은 시제(詩題)보다 산승탐월색(山僧貪月色)으로 알려져 있는데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 이규보 시문집)에는 산석영정중월(山夕詠井中月)로 기록되어 있으나 지금은 시제(詩題)가 영정중월로 통용되고 있다.

이 시는 우물 속에 잠긴 달을 읊은 작품으로, 산승(山僧)이 달빛을 사랑하여 물을 길으며 달을 함께 담아오지만, 절에 이르러서는 물병을 기울이면 달도 사라지고 만다는 사실을 깨닫는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달빛은 마냥 물 속에 풀려 있는 것이 아니며, 달이 사라지면 달빛도 사라지고 만다는 당연한 사실을 한 산승을 등장시켜 잔잔한 모습으로 그려내고 있다.

흔히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의 뜻을 비유적으로 함축하여 풀어낸 것으로 선교(禪敎)의 진리를 쉽게 담아낸 名詩를 행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山夕詠井中月(산석영정중월 : 산에서 밤을 보내며 우물 속의 달을 읊다). 二首

漣漪碧井碧嵓隈(연의벽정벽암외) 이끼 덮인 암벽 모퉁이 맑은 우물 속에

新月娟娟正印來(신월연연정인래) 방금 뜬 어여쁜 달이 바로 비추네

汲去甁中猶半影(급거병중유반영) 길어 담은 물병 속에 반쪽 달이 반짝이니

恐將金鏡半分廻(공장금경반분회) 둥근달을 반쪽만 가지고 돌아올까 두렵구나

 

詠井中月(영정중월 : 우물 속의 달)

山僧貪月色(산승탐월색) 산속의 스님이 달빛을 탐내어

幷汲一甁中(병급일병중) 하나 가득 병 속에 같이 담았네.

到寺方應覺(도사방응각) 그러나 절에 이르면 응당 알리니

甁傾月亦空(병경월역공) 병을 기울이면 달빛 또한 비게 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