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차한잔의 여유

쌍매당 이첨 시 자적, 용심 2수(雙梅堂 李詹 詩 自適, 慵甚 2首)

쌍매당 이첨(雙梅堂 李詹 1345~1405)은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신평(新平). 자는 중숙(中叔), 호는 쌍매당(雙梅堂). 할아버지는 보문각제학 달존(達尊)이고, 아버지는 증 참찬의정부사(贈參贊議政府事) 희상(熙祥)이다.

1365년 감시(監試)의 제2인으로 합격했고, 1368년 문과에 급제해 예문검열이 되고, 이듬해 우정언에 이어 1371년 지통사(知通事)로 권농방어사(勸農防禦使)를 겸하였다. 그 뒤 우헌납에 올라 권신 이인임(李仁任)·지윤(池奫)을 탄핵하다가 오히려 10년간 유배되었다.

유배에서 풀려나 내부부령(內府副令)·예문응교를 거쳐 우상시(右常侍)가 되었으며, 1391년 좌대언(左代言)이 되었다. 이어 지신사(知申事)에 올라 감사를 맡았으나, 이 해에 장류(杖流)된 김진양(金震陽) 사건에 연루되어 결성(結城 : 충청남도 홍성)에 다시 유배되었다.

조선조 건국 후 1398년 이조전서(吏曹典書)에 등용되어 동지중추원학사(同知中樞院學士)에 올랐다. 1400년 첨서삼군부사(簽書三軍府事)로 전위사(傳位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이듬해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에 올라 하륜(河崙)과 함께 등극사(登極使)의 부사(副使)로서 명황제의 등극을 축하하기 위해 명에 다녀왔다.

그 때 고명(誥命 : 명에서 조선의 왕을 인정하는 승인서)과 인장(印章 : 옥새)을 고쳐 주도록 주청(奏請)하였다. 뒤에 그 공로로 토지와 노비가 하사되었고 정헌대부에 올랐다. 그 해 지의정부사로서 대사헌을 겸했으며, 1403년 예문관대제학이 되었다.

문장과 글씨에 뛰어나 하륜 등과 함께 삼국사략(三國史略)을 찬수했고, 소설 저생전(楮生傳)을 지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많은 시를 남기고 있으며, 유저로는 쌍매당협장문집(雙梅堂篋藏文集)이 있다. 시호는 문안(文安)이다.

 

쌍매당 선생께서 왕조가 바뀌는 격동시기에 세찬 풍파를 거치며 걸출한 문인으로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인물이다. 600여년이 흘렀지만 그가 남긴 유저(遺著)통하여 당시 봄기운 완연한 시기에 읊은 시 자적(自適)과 만년에 여유로움이 묻어나는 시 용심(慵甚) 2수를 예서체와 행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자적(自適 : 悠悠自適 하면서..)

舍後桑枝嫩(사후상지눈) 집 뒤 뽕나무 가지에 새싹 트고

畦西薤葉抽(휴서해엽추) 서쪽 밭두둑 밑에 부추 잎 길게 나왔구나

陂塘春水滿(파당춘수만) 못 둑에는 봄물이 넘치고

稚子解撑舟(치자해탱주) 아이는 매어 있던 배를 풀어 노 저으려 하네

 

용심(慵甚 : 심한 게으름)

平生志願已蹉跎(평생지원이차타) 평생에 뜻하던 바는 이미 틀려 버려

爭奈慵疎十倍多(쟁내용소십배다) 게으르고 데면데면함이 열 곱절 늘었으니 이를 어이하리

午寢覺來花影轉(오침각래화영전) 낮잠 깨고 나니 꽃 그림자 옮겨져

暫携稚子看新荷(잠휴치자간신하) 잠깐 어린애 손잡고 새로 핀 연꽃을 바라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