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차한잔의 여유

설봉 강백년 시 효음, 산행, 제야(雪峯 姜柏年 詩 曉吟, 山行, 除夜)

설봉 강백년(雪峯 姜柏年. 1603∼1681)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숙구(叔久), 호는 설봉(雪峯), 한계(閒溪), 청월헌(聽月軒), 시호 문정(文貞)이다.

 

1627년 정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 정언(正言)·장령(掌令)을 지내고, 1646년에 강빈옥사(姜嬪獄事)가 일어나자 부교리로서 강빈의 억울함을 상소하였다가 삭직(削職)당했다.

 

이해에 문과 중시에 장원하여 동부승지에 오르고, 이듬해 상소하여 전국에 걸쳐 향교를 부흥케 하였고, 1648년 대사간으로 다시 강빈의 신원(伸寃)을 상소했다가 청풍군수로 좌천되었다.

 

1653년(효종 4) 좌승지에 오르고 충청도·강원도의 관찰사를 거쳐 1660년(현종 1)에 예조참판으로서 동지부사(冬至副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1670년 도승지·이조참판을 역임한 뒤 현종이 죽자 그 시책문(諡冊文)을 지었고 예조판서·우참찬·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르렀다.

 

관직 재직 중 청백하기로 이름이 높았으며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만년에는 고금의 가언(嘉言)과 선정에 관한 것을 수집하여 대학(大學)의 팔조를 모방하여 한계만록(閑溪謾錄)을 지었고, 약간의 시문이 설봉집(雪峯集)에 실려 있다. 1690년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뒤에 청백리로 녹선(錄選)되었다. 온양의 정퇴서원(靜退書院), 수안의 용계서원(龍溪書院), 청주의 기암서원(機巖書院)에 제향 되었다.

 

소개하고자 하는 설봉선생은 청백리(淸白吏)의 표상이자 충청도관찰사로 공주에 부임하여 선정(善政)을 펼쳐 백성들로부터 칭송을 받았으며, 진주강씨 문중을 대표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이런 연유로 공주시에서 올해 12월의 역사인물로 선정되었다. 그가 남긴 시 몇 수를 통해 격조 높은 서정성과 선(禪)적 요소들을 느껴보고자 하며, 제야(除夜)의 밤을 보내며 소회를 읊은 시(除夜)는 고금을 막론하고 아쉬움과 후회가 더해지는 것은 변함이 없다.

 

曉吟(효음 : 새벽에 읊다)

小雨絲絲濕一庭(소우사사습일정) 가는 비가 보슬보슬 온 뜰을 적시는데

寒鷄獨傍短墻鳴(한계독방단장명) 추운 닭만 홀로 기대 낮은 담장에서 우네.

幽人睡起身無事(유인수기신무사) 숨어 사는 이 잠 깨어 일어나 아무 일 없어

徒倚南窓望翠屛(도의남창망취병) 홀로 남창에 기대어 푸른 병풍 산 바라본다.

 

山行(산행)

十里無人響(십리무인향) 산 길 십리 인기척 전혀 없고

山空春鳥啼(산공춘조제) 산은 고요한데 새소리만 들리네

逢僧問前路(봉승문전로) 스님 만나 갈 길 물었지만

僧去路還迷(승거노환미) 스님 떠나자 도리어 길을 잃었네

 

除夜(제야 : 섣달 그믐날)

酒盡燈殘也不眠(주진등잔야불면) 술 다하고 등불 꺼져가도 잠은 오지 않고

曉鐘鳴後轉依然(효종명후전의연) 새벽 종소리 울린 후에 여전하구나

非關來年無今夜(비관내년무금야) 내년을 생각 마라 오늘 같은 밤 다시 오지 않으니

自是人情惜去年(자시인정석거년) 이제부터 사람들 마음 가는 해를 아쉬워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