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호 양경우(霽湖 梁慶遇. 1568년∼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자점(子漸), 호는 제호(霽湖)‧점역재(點易齋)‧요정(蓼汀)‧태암(泰巖)이다. 증조부는 양자윤(梁自潤)이고, 조부는 집의(執義) 양의(梁艤)이고, 부친은 의병장 양대박(梁大樸)이다.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1592년(선조 25)에 부친을 따라 아우 양형우(梁亨遇)와 함께 의병(義兵)을 일으켰다. 또 고경명(高敬命)의 막중(幕中)에 나아가서 서기(書記)가 되었다. 1595년(선조 28)에 명군(明軍)의 군량 조달을 위해 고도내모속문(告道內募粟文)이라는 격문(檄文)을 지어 도내에 곡식을 모집하자 10일 만에 7,000여 석이 모이니, 명나라 장수 양원(楊元)이 탄복하였다. 그리하여 명군이 도사(都事)를 통해 포계(褒啓)하여 상전(賞典)을 주려 하자 부친 양대박(梁大樸)을 증직 해 줄 것을 원하여 병조참의(兵曹參議)에 증직 되었다.
1597년(선조 30) 참봉(參奉)으로 정유별시문과(丁酉別試文科) 병과(兵科) 13등으로 급제하여 죽산현감(竹山縣監) 등을 지냈다. 1606년(선조 39) 조사(詔使) 주지번(朱之蕃), 양유년(梁有年)이 나오자 원접사 유근(柳根)의 종사관으로 차출되었다. 1609년(광해군 1)에 차천로(車天輅) 등과 함께 제술관(製述官)이 되어 의주(義州)에 갔으나 폐단을 일으켰다는 이유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으나 박응서(朴應犀)의 고변으로 조희일(趙希逸)‧최기남(崔起南) 등과 함께 조사를 받고 풀려났다.
1616년(광해군 8)에 병진중시문과(丙辰重試文科)에 병과 4등으로 뽑히고 장성현감(長城縣監)을 지냈다. 1618년(광해군 10) 대비(大妃)의 폐서인(廢庶人) 문제로 아우인 양형우(梁亨遇)가 항소(抗疏)하여 유배되자, 그는 관직을 버리고 제암(霽巖)에 집을 지어 고슬당(鼓琴堂)이라고 부르며 제호(霽湖)로 호(號)를 삼았다. 그 해 가을 명나라가 후금(後金)의 침략으로 원군을 요청해오자 북방을 위한 공어방략(攻禦方略) 20책(策)을 관서병사(關西兵使)에게 올렸으나 채용되지 않았다.
1623년(인조 1)에 김류(金瑬)가 반정(反正)에 참가할 것을 권유했으나 거절하고 금강(錦江)으로 돌아갔다. 저서로 제호집(霽湖集)이 있는데, 양경우의 손자인 양도(梁燾)가 1647년(인조 25)에 간행했다. 이 문집은 모두 8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권1∼4에는 시 450수가 오언시‧칠언시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권 5에는 의병활동 당시의 기록을 일기체로 서술하고 있다. 또한 권 6에는 시의 형식에 대한 비편, 권 7에는 지리산 기행록, 권 8에는 잠(箴)‧비문‧기(記) 등이 수록되어 있다.
1796년(정조 20)에 이조참의(吏曹參議)로 증직 되고 부자충의지문(父子忠義之門)이란 이름으로 정문(旌門)이 내려졌고, 호남관찰사에게 양경우의 문집을 간행하라고 명했다. 1799년(정조 23) 양경우의 문집에 부친 양대박의 청계집(靑溪集)과 동생인 양형우의 동애집(東崖集)과 함께 양대사마실기(梁大司馬實記)로 합편되어 간행되었다.
소개하고자 하는 제호 양경우의 시 전가는 내가 어렸을 때 시골에 살면서 느낀 모습을 그대로 표현한 서정이 넘치는 시다. 요즘 도심을 조금만 벗어나면 황금 들녘으로 넘실거리고 추수하는 모습 등 가을의 정점에 선 풍경을 보게 된다. 지금은 서서히 사라져 가고 있는 탱자나무 울타리, 멍석은 옛 추억을 떠오르게 한다. 음미할수록 전원의 소박한 농촌 일상을 아련하게 그려낸 멋진 시를 행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전가(田家 : 시골집)
枳殼花邊掩短扉(지각화변엄단비) 탱자꽃 가에 있는 작은 사립문을 닫아 놓고
餉田村婦到來遲(향전촌부도래지) 들밥이고 내간 아낙네 돌아오는 시간이 늦는구나
蒲茵曬穀茅檐靜(포인쇄곡모첨정) 멍석엔 곡식 널린 초가집은 고요하기만 한데
兩兩鷄孫出壞籬(양량계손출괴리) 쌍쌍 어울린 병아리들이 울타리 틈으로 나가고 있네
'삶의 향기 > 차한잔의 여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봉 강백년 시 효음, 산행, 제야(雪峯 姜柏年 詩 曉吟, 山行, 除夜) (0) | 2019.12.05 |
---|---|
도은 이숭인 시 촌거(陶隱 李崇仁 詩 村居) (0) | 2019.11.12 |
사명대사 유묵 시 유약강호만(四溟大師 遺墨 詩 有約江湖晩) (3) | 2019.10.15 |
천태덕소 선사 선시 만목청산(天台德韶 禪師 禪詩 滿目靑山) (0) | 2019.10.07 |
오창석 화제시 갈매기(吳昌碩 畵題詩 鷗) (0) | 2019.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