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차한잔의 여유

망우당 곽재우 시 재가야차석천운(忘憂堂 廓再祐 詩 在伽倻次石川韻)

망우당 곽재우(忘憂堂 廓再祐. 1552 ~ 1617) 의병장은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으로 본관은 현풍(玄風), 자는 계수(季綏), 호는 망우당(忘憂堂)이다. 아버지는 황해도관찰사를 지낸 곽월(郭越)이며, 어머니는 진주강씨(晉州姜氏)로 경상남도 의령(宜寧)에서 출생하였다.

 

1585년(선조 18) 별시(別試)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답안지에 왕의 뜻에 거슬린 글귀가 있었기 때문에 파방(罷榜)되었다. 이 일로 과거를 포기하고 은거하다가 1592년 4월 14일 임진왜란이 일어나 왕이 의주(義州)로 피난하자 같은 달 22일 제일 먼저 의령에서 수십 명의 사람들을 모아 의병을 일으켰다. 의병의 군세는 더욱 커져 2천에 달하였고, 5월에는 함안군을 수복하고 정암진(鼎巖津 : 솥바위 나루) 도하작전을 전개한 왜병을 맞아 싸워 대승을 거두었다. 이때 홍의(紅衣)를 입고 선두에서 많은 왜적을 무찔렀으므로 홍의장군이라고도 불렸다. 조정에서는 이 공을 인정하여 그해 7월 유곡찰방(幽谷察訪)에 임명하였다가 다시 형조정랑을 제수하였다. 10월에는 절충장군(折衝將軍)으로 승진하여 조방장(助防將)을 겸임하다가 성주목사(星州牧使)에 임명되어 악견산성(岳堅山城) 등 성지를 수축하였다. 또한 1차 진주성 전투에 휘하의 병사들을 보내어 김시민(金時敏) 장군이 승리하는데 조력하였다.

 

1595년 진주목사에 임명되었으나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가 1597년 정유재란 때 경상좌도방어사(慶尙左道防禦使)로 임명되어 다시 벼슬길에 나아가 화왕산성(火旺山城)을 수비하면서 왜장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군을 맞아 싸웠다. 이후 계모의 상을 이유로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창암진(蒼巖津) 강가에 망우정(忘憂亭)을 짓고 은둔하고 있다가 1604년(선조 37) 찰리사(察理使)에 임명되어 인동(仁同)의 천생산성(天生山城)을 보수하였고, 10월에는 가선대부용양위상호군(嘉善大夫龍驤衛上護軍)에 임명되었다.

 

이후 또 다시 낙향하였다가 1610년(광해군 2년) 광해군의 간청으로 오위도총부의 부총관을 역임하였고, 이어 함경도 관찰사를 거쳐 1612년 전라도 병마절도사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1613년(광해군 5)에는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신구(伸救)하는 상소문을 올린 후에 다시는 벼슬길에 나오지 않았다.

 

그는 병마절도사·삼도수군통제사·한성부 좌윤 등 여러 차례에 걸쳐 관직제수를 거부하고 낙향을 거듭하였는데 당쟁으로 나라의 형편이 날로 어지러워질 뿐만 아니라, 통제사 이순신(李舜臣)이 죄 없이 잡혀 올라오고, 또 절친한 사이인 광주의병장 김덕령(金德齡)이 이몽학(李夢鶴)의 난에 휘말려 죽는 등의 일련의 사태를 보고 더 이상 관직생활에 미련을 두지 않았다.

 

1709년(숙종 35) 병조판서겸 지의금부사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저서로는 망우당집(忘憂堂集)이 있다. 그의 묘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신당리에 있고, 그의 사우(祠宇)에는 예연서원(禮淵書院)이라는 사액이 내려졌다.

 

망우당 선생은 남명 조식(南冥 曺植)의 후학으로 그와 함께 의병을 일으킨 제자만 50여 명에 이르고 있으며, 6월 1일은 국가지정 '의병의 날'이기도 한데 이는 망우당이 경남 의령에서 창의(倡義 : 의병을 일으킴)하였던 날을 기념하기 위해서 제정되었다. 이처럼 조식의 문하에서 배출한 인물과 깊은 학풍은 민족적이며 실천적 지성의 깊이를 토대로 하고 있어 퇴계학문과 내면적 깊이를 함께 비추어 반드시 재조명받아야 함은 당연한 소명이기도 하다.

소개하고자 하는 재가야차석천운(在伽倻次石川韻)은 동시대 대학자였던 석천 임억령(石川 林憶齡)의 시를 차운한 것으로 보이며, 다소 선(禪)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있어 유교, 불교 도교에도 통달했던 망우당 선생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기에 행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재가야차석천운(在伽倻次石川韻 : 가야산에서 석천의 시를 차운하다)

莫不苦長夜(막불고장야) 모두가 긴 밤을 괴로워하지 않을 수 없으니

誰令日未曛(수령일미훈) 누가 지는 해 묶어 두리요

欲看天地鏡(욕간천지경) 천지간 묘리를 환히 뚫어 보려거든

須自絶塵紛(수자절진분) 모름지기 스스로 속세의 먼지를 끊어야 한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