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차한잔의 여유

남이장군 북정가(南怡將軍 北征歌)

남이(南怡, 1441~1468) 본관이 의령(宜寧)으로 할아버지는 의산군(宜山君) 남휘(南暉, ?~1454)이고 할머니는 태종의 넷째 딸인 정선공주(貞善公主)다. 아버지는 군수 남빈 ( 南份)이다. 또 하나의 중요한 가문적 배경은 그가 권람(權擥, 1416~1465)의 사위였다는 사실이다.

권람은 조선 초기의 대표적 학자인 권근(權近, 1352~1409)의 손자이자 권제(權踶, 1387~1445)의 아들로서 좌의정까지 오르고 정난(靖難) 및 좌익(佐翼) 1등 공신에 책봉된 당시 가장 핵심적인 대신의 한 사람이었다.  

그는 한국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인물 중 한 사람일 것이다.

그 비극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소는 젊디 젊은 나이에 탁월한 경력을 이뤘지만 모반의 혐의로 처형되었다는 사실의 대비(對比) 일 것이다.

그는 16세(1457년, 세조 3)에 무과에 급제했고, 26세에 적개(敵愾) 1등 공신에 책봉되었으며(1467, 세조 13) 이듬해에 병조판서가 되었지만, 몇 달 뒤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남이가 무장으로 출세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계기는 1467년(세조 13)에 일어난 이시애(李施愛)의 난이었다. 그때 남이는 혈기 넘치는 26세의 청년이었다.

세조는 치세 내내 중앙집권의 강화를 주요 시책으로 추진했는데, 그중 하나가 북방의 통제였다. 그 결과 북방 출신 수령을 줄이고 중앙에서 직접 관원을 파견했으며, 호패법을 강화해 변방 백성의 이주를 통제하는 정책 등이 시행되었다

 

세조 후반의 가장 큰 위기였던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결정적인 계기였던 북청 전투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펼쳤다. 그런 모습은 [세조실록]에 잘 기록되어 있다.

 

북청 전투에서 남이는 진(陣) 앞에 출몰하면서 사력(死力)을 다해 싸워 가는 곳마다 적이 쓰러졌다. 그는 몸에 4~5개의 화살을 맞았으나 낯빛이 태연했다(세조 13년 7월 14일).

 

이시애 난에서 세운 전공으로 남이는 행호군(行護軍, 정 4품)에 임명되고 적개 11등 공신과 의산군(宜山君)에 책봉되었다.

 

이후 북방에서 그의 활약은 계속되었다. 이번의 대상은 건주위(建州衛) 여진이었다.

남이는 평안도선위사(平安道宣慰使) 윤필상(尹弼商)이 지휘한 토벌군에서 우상대장(右廂大將)으로 주장(主將) 강순, 좌상대장 어유소와 함께 참전해 만포(滿浦)부터 파저강(波猪江)을 공격하면서 적의 우두머리인 이만주(李滿住)를 죽이는 뛰어난 전공을 세웠다.

 

이런 업적에 따라 그는 급속히 승진했다. 이시애의 난이 종결된 직후 공조판서(세조 13년 12월 17일)에 임명되었고, 반년 뒤에는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겸직했으며(세조 14년 7월 17일), 한 달 뒤에는 병조판서에 발탁되었다(세조 14년 8월 23일). 27세에 국방을 총괄하는 장관에 오른 기록은 한국사 전체에서 아마도 그가 유일할 것이다.

 

남이는 술도 잘 마셨고, 성격도 직설적이었다고 판단된다. 세조가 친림(親臨 : 임금이 직접 참석함)한 주연(酒宴)에서 만취해 “요즘 주상께서 구성군 이준을 지나치게 총애하는 것은 그르다”고 항의한 것은 그런 측면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세조 14년 5월 1일).

 

이처럼 남이는 화려한 가문적 배경과 출중한 능력을 바탕으로 급속히 승진했다. 그는 호방한 무인적 기질이 넘쳤고, 강한 정치적 야망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자신을 신임한 세조가 붕어해 예종이 즉위하고 훈구대신들이 다시 권력을 장악하면서 남이는 결국 비극적 운명을 맞게 되었다.

 

실록의 기사를 면밀히 살펴볼 때 남이가 일정한 정치적 불만을 갖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이 과연 국왕을 겨냥한 역모로까지 발전했는지는 분명치 않다고 판단된다. 그런 측면 때문에 조선 후기의 여러 야사는 남이가 유자광의 음모로 죽었다고 보았다.

 

남이는 1818년(순조 18) 음력 3월 10일에 우의정 남공철(南公轍)의 청에 따라 강순과 함께 사면되어 관작이 복구되었으며, 1910년(순종 3)에는 '충무(忠武)'의 시호가 추증되었다.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남전리에 남이의 묘소로 전해지는 남이장군묘가 있고,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의 남이섬도 그의 가묘와 추모비가 있다.

 

소개하고자 하는 남이의 대표적 시로 호방함과 야망을 느끼기에 충분한 시지만 한편으로 그의 죽음과 관련이 있다고 전해진다. 유자광의 음모를 확증하는 계기가 된 시로 남이장군이 여진족을 정벌하고 백두산에 올라 지은 시 중 男兒二十未平國을 男兒二十未得國으로 “平”자를 “得”자로 고쳐 예종에게 고함으로서 형장에 이슬로 사라지게 된 슬픈 사연이 깃든 시다.

 

북정가(北征歌)                                     - 남이(南怡)

백두산석마도진(白頭山石磨刀盡) 백두산 돌은 칼을 갈아 다하고
두만강파음마무(頭滿江波飮馬無) 두만강 물은 말이 마셔 없애리
남아이십미평국(男兒二十未平國) 사나이 이십에 나라를 평정치 못하면
후세수칭대장부(後世誰稱大丈夫) 후세에 누가 대장부라 일컬어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