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차한잔의 여유

척약재 김구용 시 2 수 만공창취, 무창(惕若齋 金九容 詩 2首 滿空蒼翠, 武昌)

척약재 김구용(惕若齋 金九容. 1338~1384)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김제민(金齊閔), 자는 경지(敬之), 호는 척약재(惕若齋) 또는 육우당(六友堂). 첨의중찬 김방경(金方慶)의 현손으로 김묘(金昴)의 아들이다.

공민왕 때 16세로 진사에 합격하고, 왕명으로 모란시(牡丹詩)를 지어 일등을 하여 왕으로부터 산원직(散員職)을 받았다.

18세에 과거에 급제해 덕녕부주부(德寧府注簿)가 되었다. 1367년(공민왕 16) 성균관이 중건되자, 민부의랑겸성균직강(民部議郎兼成均直講)이 되어 정몽주(鄭夢周)·박상충(朴尙衷)·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후학의 훈화에 노력해 성리학을 일으키는 일익을 담당하였다.

1375년(우왕 1) 삼사좌윤(三司左尹)이 되었을 때, 이인임(李仁任) 등 권신들이 북원(北元)이 보낸 사절을 맞으려 하자, 이숭인·정도전(鄭道傳) 등 당시 친명파와 함께 도당(都堂)에 상서해 이를 반대하다가 죽주(竹州)에 귀양 갔다. 뒤에 여흥(驪興)으로 옮겨 강호에 노닐며 거처하는 곳을 육우당이라 이름하고, 시와 술로 날을 보냈다.

1381년(우왕 7)에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가 되어 왕의 절제 없는 거둥을 경계하는 글을 올려 직간하였다. 이듬해 성균관대사성이 되었다가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가 되었다. 1384년 행례사(行禮使)가 되어 명나라에 갈 때, 국서와 함께 백금 1백 냥과 세저(細苧 : 가는 모시)·마포 각 50 필을 가지고 갔다.

요동에서 체포되어 명나라 서울 남경(南京)으로 압송되었는데, 명나라 태조의 명으로 대리위(大理衛)에 유배되던 도중 노주 영녕현(瀘州永寧縣)에서 병사하였다.

김구용은 사장(詞章)을 잘해, 특히 시로 유명하였다. 이색(李穡)은 그의 시를 가리켜, “붓을 대면 구름이나 연기처럼 뭉게뭉게 시가 피어 나온다.”라고 하였다.

『동문선(東文選)』에 김구용의 시 8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특히 무창시(武昌詩)가 유명하다. 허균(許筠)은 이 시를 들어 청섬(淸贍)하다 하였고, 신위(申緯)도 ‘동인논시절구(東人論詩絶句)’에서 김구용의 시를 들어 감탄하고 있다. 『주관육익(周官六翼)』을 찬했으며, 문집인 『척약재집(惕若齋集)』이 전하고 있으며,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의 용장서원(龍章書院)에 배향되었다.

 

소개하고자 하는 척약재 김구용 선생의 시 만공창취는 유거망기(幽居忘機)의 심정을 한 폭의 동양화를 연상케 하는 雅趣가 흐르는 시와 왕명에 의하여 명나라에 행례사(行禮使)로 갔다가 정치적 갈등에 의하여 明 太祖에 의하여 雲南으로 유배 중 무창에서 읊은 시 2수를 행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망기(忘機)란? 기심(機心)을 잊음. 즉 世欲에 끌리는 마음을 훌훌 털어내고 物外의 지취(旨趣)를 추구하는 심성의 상태를 지칭하는 뜻으로 한시에 자주 등장한다. 망기와 관련된 한시를 연이어 私淑齋 선생과 함께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만공창취(滿空蒼翠 : 푸른빛은 허공에 가득 차고)   - 金九容

滿空蒼翠雨霏微(만공창취우비미) 푸른빛은 허공에 가득하고 보슬비는 내리고

喜見雲間獨鶴歸(희견운간독학귀) 구름 사이로 홀로 날아가는 학을 즐겁게 바라보네

莫怪登樓消永日(막괴등루소영일) 누각에 올라 하루 종일 보내도 쓸쓸하지는 않구나

煮茶聲裏坐忘機(자다성리좌망기) 차를 끓이는 소리 들으며 세상사를 모두 잊도다

 

무창(武昌)

黃鶴樓前水湧波(황학루전수용파) 황학루 앞 강물은 솟구치듯 물결 일고

沿江簾幕幾千家(연강렴막기천가) 강 따라 늘어선 주렴과 장막 몇 천 집인가

醵錢沽酒開懷抱(갹전고주개회포) 돈을 추렴하여 술 사서 회포를 푸는데

大別山靑日已斜(대별산청일이사) 대별산은 푸른데 해는 이미 저물었구나

 

위 시에 무창, 황학루, 대별산이 등장하는데 이는 고려말 원,명(元,明)나라 교체시기에 왕명에 의해서 行禮使로 중국에 갔다가 친원파(親元派)와 갈등으로 문제가 야기되자 명 태조(明 太祖)에 의하여 운남 대리위(雲南 大理衛)로 유배를 당하는데 남경(南京)에서 출발하여 영영(永寧)현 노주(瀘州)에서 병사하기 까지 약 5개월간 유배길에서 지은 시 45수 중 한수(武昌 詩)라는 名詩를 남겼다. 이는 삼봉 정도전(三峯 鄭道傳)이 서(序)한 척약제유고서(惕若齋遺稿序)에 내용 일부가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