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차한잔의 여유

함허 득통 반야가(涵虛 得通 般若歌)

함허당(涵虛堂. 1376 ~ 1433) 조선 초기의 승려로 호는 득통(得通), 당호는 함허(涵虛), 속성은 유(劉)씨로 첫 법명은 수이(守伊), 첫 법호는 무준(無準). 법명은 기화(己和)이다. 충청북도 충주(忠州) 출신으로 아버지는 전객시사(典客寺事 : 고려시대 빈객을 대접하는 잔치를 관장하던 관아) 유청(劉 聽)이다. 조선 초기의 배불정책(排佛政策)이 극에 이르렀을 때, 불교의 정법(正法)과 그 이치를 밝힘으로써 유학의 불교 비판의 오류를 시정시키고자 노력하였다.

 1396년(태조 5) 관악산 의상암(義湘庵)으로 출가하였으며, 1397년에 회암사(檜巖寺)로 가서 무학왕사(無學王師)에게 법요(法要)를 들은 뒤 여러 곳을 다니다가, 1404년(태종 4) 다시 회암사에 가서 수도에 정진하였다. 1406년 공덕산(功德山) 대승사(大乘寺)에서 4년 동안 반야경을 설했고, 1410년 개성의 천마산 관음굴(觀音窟)에서 선을 크게 진작하였다.

1411년부터 절을 중수하고 승속(僧俗)들을 지도하였다. 1414년 황해도 평산(平山)의 자모산(慈母山) 연봉사(烟峯寺)의 작은 방을 함허당(涵虛堂)이라 명명하고, 금강경오가해설의(金剛經五家解說誼)를 강의하였다. 1420년(세종 2) 오대산에 들어가 오대의 여러 성인들에게 공양하고, 영감암(靈鑑庵)에 있는 나옹(懶翁)의 진영(眞影)에 제사한 뒤 잘 때, 꿈에 어떤 신승(神僧)이 나타나 이름은 기화, 호는 득통으로 지어 주어 이후 그것을 사용하였다.

1421년 세종의 청에 의하여 개성 대자사(大慈寺)에 머물면서 왕의 어머니를 위해 명복을 빌고, 왕과 신하들을 위해 설법하였다. 1424년 길상산(吉祥山)·공덕산(功德山)·운악산(雲岳山) 등을 편력하면서 일승(一乘)의 진리를 설파하였다. 1431년 문경의 희양산(曦陽山) 봉암사(鳳巖寺)를 중수하고 그곳에서 머물다가, 1433년 입적하였다.

그는 무학자초(無學自超)의 법을 이은 선가(禪家)이지만, 교(敎)에 대한 많은 저술을 남겼고, 교학적(敎學的)인 경향을 강하게 풍기고 있다. 『현정론(顯正論)』에 나타나 있듯이, 그의 선사상(禪思想)에는 현실 생활과 일상적인 생활을 수용하고 포용하는 특징이 있는데, 이것은 조선 초기 유학자들이 배불(排佛)을 주창하면서 ‘허무적멸지도(虛無寂滅之道)’라고 비판한 것을 반박하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유·불·도의 삼교일치 사상은 신라 말 최치원(崔致遠)에 의해 시작되어, 그에 의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의 삼교일치론은 송나라 계숭(契嵩)이 지은 『보교편(輔敎編)』과 비슷한 점이 있지만, 강력한 억불정책으로 불교가 배척당하고 있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주장되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문인으로 문수(文秀)·학미(學眉)·달명(達明)·지생(智生)·해수(海修)·도연(道然)·윤오(允悟) 등이 있다.

저서로는 『원각경소(圓覺經疏)』 3권, 『금강경오가해설의』 2권 1책, 『윤관(綸貫)』 1권, 『함허화상어록(涵虛和尙語錄)』 1권이 있다. 그 밖에도 『반야참문(般若懺文)』 1권이 있다고 하나 전하지 않는다.

봉암사에 비가 있고 가평 현등사(懸燈寺)에 부도가 있다.

 

함허당 득통 기화스님은 화려했던 숭불의 고려시대를 뒤로하고 배불의 조선시대로 접어드는 혼돈의 시기를 살아간 고승이다. 나옹선사와 무학자초의 법맥을 잇는 선사답게 각종 경전의 해설서를 펴내며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고자 노력하였으며 노력의 결과가 조선시대는 물론 오늘날까지 수행과 교학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함허화상어록에 실려있는 7언절구 12 수로 이어지는 반야가 를 흑지에 세필금니(細筆金泥)로 자서해 보았다.

 

반야가(般若歌 : 반야의 노래)

有心求處元無迹(유심구처원무적) 마음을 가지고 찾아보면 아무런 흔적 없고

不擬心時常歷歷(부의심시상력력) 마음으로 생각하지 않으면 항상 또렷해.

於中坐臥及經行(어중좌와급경행) 그 가운데 앉고 눕고 걸어 다니지만

不須擬心要辨的(불수의심요변적) 마음으로 생각하지 않아야 분명 해지네.

 

閑則閑閑忙則忙(한즉한한망즉망) 한가하면 한가하고 바쁘면 바쁘며

困來伸脚飯來噇(곤래신각반래당) 피곤하면 다리를 뻗고 먹을 때는 먹는다.

不離日用常無事(불이일용상무사) 늘 쓰고 있으면서도 항상 일이 없으니

一道寒光無處藏(일도한광무처장) 한 줄기 차가운 빛도 감출 곳 없어라.

 

長靈一物在目前(장령일물재목전) 신령한 한 물건이 눈앞에 있으니

亦能同地亦同天(역능동지역동천) 또한 능히 땅과 같고 하늘과 같도다.

眼見耳聞無聲色(안견이문무성색) 눈으로 보고 귀로 들으나 소리와 빛은 없고

展去廻來常寂然(전거회래상적연) 펼쳐지기도 하고 되돌려지기도 하지만 항상 고요하네.

 

一身圓含十方空(일신원함시방공) 하나의 몸이 시방세계를 두루 포함하면서 비었고

一念能令十世融(일념능령십세융) 하나의 생각에 십세(十世)가 다 녹아들어 있나니

四聖六凡都在裏(사성육범도재리) 수많은 성인과 범인이 모두 그 속에 있고

塵沙劫海不離中(진사겁해불이중) 티끌이나 모래알같이 많은 겁의 세월이 거기서 벗어나지 않네.

 

甚深十二諸經律(심심십이제경률) 깊고 깊은 모든 경전과 계율

道儒百家諸子述(도유백가제자술) 도가, 유가, 제자백가의 저술

世與出世諸法門(세여출세제법문) 세간과 출세간의 모든 법문

盡從這裏而演出(진종저리이연출) 그 모든 것이 여기로부터 펼쳐져 나왔네.

 

如彼大虛無不括(여피대허무부괄) 저 큰 허공과 같이 감싸지 못하는 것이 없고

亦如日月遍塵刹(역여일월편진찰) 또한 해와 달처럼 온 우주에 두루 한다.

莫問緇素與尊卑(막문치소여존비) 승려와 속인, 존귀한 이와 비천한 이를 불문하고

摠向彼中同死活(총향피중동사활) 모두가 그 가운데서 함께 죽고 사는 것이라.

 

無相無名若大虛(무상무명약대허) 모습도 없고 이름도 없어 큰 허공과 같으나

我師權號波羅蜜(아사권호바라밀) 우리 스승께서 임시로 바라밀이라 하였네.

摩訶般若波羅蜜(마하반야바라밀) 마하반야바라밀

了了見時無一物(요요견시무일물) 또렷하게 볼 때에 그 어떤 한 물건도 없네.

 

山河大地等空華(산하대지등공화) 산과 강과 땅이란 허공 속의 꽃과 같고

殊相劣形同水月(수상열형동수월) 잘났거나 못났거나 물속의 달과 같네.

法法無根摠歸空(법법무근총귀공) 모든 존재는 뿌리가 없어 모두 공(空)으로 돌아가니

獨有此空終不滅(독유차공종불멸) 오직 이 공만이 끝내 사라지지 않는다네.

 

今於何處見眞機(금어하처견진기) 지금은 어디에서 참된 기틀 볼 것인가?

月落雲生山有衣(월낙운생산유의) 달 지고 구름 생겨 산에다 옷을 입혔네.

眼辦自肯人何限(안변자긍인하한) 보면 아는 것인데 남들이 어떻게 할 것이며

耳咡如聾數難知(이이여롱수난지) 귀로 들어도 귀머거리 같다면 알아차리기 어려우리라.

 

得之不易守尤難(득지불이수우난) 얻는 것도 쉽지 않지만 지키는 것은 더욱 어려우니

動靜須敎體常安(동정수교체상안) 움직이든 가만히 있든 몸을 항상 편안히 하라

虛空誰着一毫許(허공수착일호허) 허공에 누가 터럭 하나 붙여 놓았는가?

自有氷輪萬古寒(자유빙륜만고한) 저절로 얼음 바퀴(달)가 있어서 만고에 서늘하리라.

 

祗因眼翳礙虛明(지인안예애허명) 다만 눈이 가려져서 텅 비고 밝은 것을 보지 못하니

妄見空花競崢嶸(망견공화경쟁영) 망령되이 허공의 꽃이 다투어 번성함을 보네.

但向眼中除幻翳(단향안중제환예) 다만 눈 속에 가려진 것만 없애면 되나니

空本無花廓爾淸(공본무화곽이청) 허공에는 본래 꽃이 없고 텅 비어 맑기만 하네.

 

客夢破猿啼歇(객몽파원제헐) 나그네의 꿈이 깨어지고 원숭이 울음도 그치자

滿目淸風與明月(만목청풍여명월) 눈 가득히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이라.

幾人買了還自賣(기인매료환자매) 몇 사람이나 샀다가 스스로 되팔았는가?

無限風流從玆發(무한풍류종자발) 무한한 풍류가 여기에서 생겨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