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차한잔의 여유

이규보 심산미로(李奎報 尋山迷路)

백운거사(白雲居士) 이규보(李奎報. 1168~1241)는 고려시대 시인이자 문학자, 정치가로서 당대를 풍미했던 인물로 앞서 소개하였기에 생략토록 하겠다. 이규보 시 심산미로(尋山迷路)는 율곡(栗谷)의 산중미로(山中迷路)와 어우러져 묘한 여운은 남기고 있다. 등장인물은 나무꾼과 산승(山僧), 산사를 찾거나, 약초를 캐러 갔다 길을 잃어버린 모습 등은 비록 시대와 계절은 다르지만 깊은 산속 정경을 서정적으로 잘 묘사하고 있어 행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尋山迷路(심산미로 : 산사를 찾아가가 길을 잃다)

暮尋山舍昧西東(모심산사매서동) 해 저물어 산사를 찾다가 방향을 잃고

行墮荒榛暗莽中(행타황진암망중) 우거진 잡목에 떨어지고 잡초 속에 빠지기도 했네

失路忽逢樵徑在(실로홀봉초경재) 길을 잃고 가까스로 좁은 나무꾼 길 발견하고

再三珍重採薪翁(재삼진중채신옹) 늙은 나무꾼에게(산사가는 길을) 재삼 묻곤 하였네

 

고금을 막론하고 실력이 부족하거나 열세만회를 위해서 뇌물을 제공하여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흔히 와이로를 쓴다라고 하는데 이에 대한유래는 백운거사의 일화로 행간에 회자되는 와이로(蛙利鷺)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와이로’(わいろ)라 뇌물이라는 뜻의 일본어다. 국립국어원은 ‘와이로’를 버리고 다듬은 말인 ‘뇌물’만 쓰도록 했다.(1997년 국어순화용어자료집) 사전 속 ‘회뢰’(賄賂, 뇌물을 주고받음. 또는 그 뇌물)는 우리 일상에서 거의 사라진 표현이다. 중년 이후에게 ‘와이로’는 ‘옛 기억’의 흔적으로 명멸하지만 젊은 세대에겐 어휘집에 없는 낯선 말이다. 새삼 ‘와이로’를 끄집어내는 까닭은 역사와 탈을 쓰고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타고 마구 번지고 있기 때문이다. 누구는 백운거사를 인용하고, 누구는 중국 고사에 기대어 ‘와이로의 역사와 전통’을 얘기한다. 과연 그럴까.

“까마귀가 꾀꼬리에게 백로를 심판 삼아 노래 대결을 제안했다. 꾀꼬리는 열심히 연습했지만 까마귀는 엉뚱한 짓을 했다. 연습 대신 개구리를 잡아 백로에게 준 것이다. 대결 결과는 까마귀의 승리. 개구리를 받아먹은 심판이 까마귀의 손을 들어준 것이다. 이를 빗대어 이규보가 ‘유아무와 인생지한’(有我無蛙 人生之恨)이라 집에 붙여 놓았다. ‘나는 여기 있지만 개구리가 없어 인생 한이 맺히누나’라는 한탄이다. 여기서 나온 말이 ‘개구리 와’(蛙)+‘이로울 리’(利)+‘백로 로’(鷺)인 ‘와이로’다. ‘와이로’는 일본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이 고사에서 온 것이다.”

온라인의 ‘퍼나르기’로 ‘확대재생산’되는 얘기의 하나다. ‘와’에 ‘이로’(利鷺) 또는 ‘이’(餌, 미끼)와 ‘료’(料)를 붙인 변형도 눈에 띈다. 그러나 ‘蛙利鷺’는 ‘와리로’라고 읽는 게 맞고, ‘와이료’가 ‘-로’로 변하는 음운현상의 근거는 없다. “늙은 호랑이가 개구리를 받아먹고 꾀꼬리를 일등으로 꼽은 우화”를 1952년 한 일간지에 소개한 수필가 조경희는 “산중의 늙은 호랑이가 되어서 어찌 흑백을 가릴 수 있으며 양심과 정의의 길을 찾을 수 있는가”라고 했을 뿐 ‘와이로’를 갖다 붙이지 않았다.

 - 강재형 미디어언어연구소장 / 한겨레신문 2014-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