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차한잔의 여유

신독재 김집 시 몇 수(愼獨齋 金集 詩 몇 首)

신독재 김집(愼獨齋 金集. 1574~1656) 조선 중기의 유학자로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사강(士剛), 호는 신독재(愼獨齋). 아버지는 장생(長生)이며, 어머니는 창녕 조씨(昌寧曺氏)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대건(大乾)의 딸이다.

아버지 김장생과 함께 예학의 기본적 체계를 완비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에게 학문을 전하여 기호학파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591년(선조24) 진사시에 2등으로 합격했으나, 사장학(詞章學: 시와 문장을 짓는 데 힘쓰는 학문)보다는 경전 연구와 수양에 전념하였다. 1610년(광해군 2)헌릉참봉(獻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광해군의 정치에 반대하여 은퇴하였다.

인조반정 후 다시 등용되어 부여현감과 임피현령(臨陂縣令)을 지냈고, 그 뒤 전라도사·선공감첨정 등에 거듭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사직하였다. 이후 학업에 전념하여 정홍명(鄭弘溟)과 태극설(太極說)을 논하였고, 윤선거(尹宣擧) 등과는 상례에 대해 논하였다. 또한 아버지 김장생이 편찬한 『의례문해(疑禮問解)』 등을 교정하고 편집하는 일에 전심전력하였다.

그 뒤 동부승지·우부승지·공조참판·예조참판·대사헌 등을 역임하였으나, 오래 머물지 않고 바로 사임하였다. 이에 태학의 유생들이 벼슬에 오래 머물도록 해달라는 소를 올리는 등 사람들에게 그의 덕망은 흠모의 대상이 되었다.

1649년(효종 즉위년) 대임(大任)을 맡겨달라는 김상헌(金尙憲)의 특청을 효종이 받아들여 이조판서에 임명되었다. 이때 효종과 함께 북벌을 계획하기도 하였다. 1653년(효종 4)좌참찬을 거쳐 이듬해 판중추부사에 임명되었으나, 효종의 각별한 배려에도 불구하고 초야에 묻혀 경전 연구와 수양에 힘썼다.

이이(李珥)의 학문과 송익필의 예학(禮學), 그리고 아버지 김장생(金長生)의 학문을 이어받았으며, 그 학문을 송시열에게 전해주어 기호학파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저서로는 신독재문집이 있고, 편저로는 의례문해속(疑禮問解續)이 있다.

사후 1883년(고종 20)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문묘와 효종 묘에 배향되었다. 연산의 돈암서원(遯巖書院), 임피의 봉암서원(鳳巖書院), 옥천의 창주서원(滄州書院), 황해도 봉산의 문정서원(文井書院), 부여의 부산서원(浮山書院), 광주(光州)의 월봉서원(月峯書院) 등에 제향 되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신독재 선생은 아버지 김장생과 함께 東國18賢에 문묘 배향되어 추앙받는 나의 자랑스러운 선조이시다. 그가 남긴 시 몇 수를 黑紙에 金泥로 자서해 보았다. 당시 그의 행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춘효(春曉 : 봄날 새벽)                           -金集

虛室人初覺(허실인초각) 텅 빈 방 잠에서 깨어보니

春天夜已闌(춘천야이란) 봄날의 밤은 이미 무르익었네

孤雲依水宿(고운의수숙) 외로운 구름은 물 위에서 잠들고

殘月映松閒(잔월영송한) 조각달은 소나무 사이를 비춘다

心靜都忘世(심정도망세) 세상사 잊으니 마음은 고요하고

夢恬不出山(몽념불출산) 산을 나서지 아니하니 꿈 또한 평온하다

緬思故園竹(면사고원죽) 내 고향 정원에 있는 대나무는

長得幾何竿(장득기하간) 지금쯤 얼마나 자라났을까

 

불음(不吟 : 읊지를 못해)

我本非排悶(아본비배민) 나 스스로 번민을 떨치려는 것이 아니라

逢場或有吟(봉장혹유음) 흥겨움 따라서 혹 시라도 읊지

春花如舊面(춘화여구면) 봄날에 꽃은 옛 친구를 대하는 듯 반갑고

秋月豈無心(추월기무심) 가을 달은 무심치 않다네

不問詩工拙(불문시공졸) 서투른 시 짓는다 묻지 말게나

唯隨興淺深(유수흥천심) 오직 흥취에 따라 얕고 깊음이니

傍人且休笑(방인차휴소) 곁에 있는 사람들 비웃진 말게나

猶自勝孤斟(유자승고짐) 홀로 독작하는 것보다 오히려 즐겁다네

 

독와(獨臥 : 홀로 누워)

世人旣棄我(세인기기아) 세상 사람들 이미 날 버렸으니

我不與人期(아불여인기) 나도 남에게 기대하지 않으리

獨臥愛山靜(독와애산정) 홀로 누우니 산 고요해서 좋고

高吟忘歲移(고음망세이) 한껏 읊으니 세월 가는 줄 잊는다

秋風吹月入(추풍취월입) 가을바람이 불어 달 불러들이고

春日護花遲(춘일호화지) 봄날은 화창하여 오래도록 꽃 가꾸지

誰識天多餉(수식천다향) 누가 알건가 하늘이 내려준 풍족함을

閑中擅四時(한중천사시) 한가한 가운데 계절을 함껏 즐길 뿐

 

독좌(獨坐 : 홀로 앉아서)

㶁㶁遠灘聲(괵괵원탄성) 콸콸 들리는 먼 여울 소리

霏霏暮靄生(비비모애생) 모락모락 피어나는 저물녘 아지랑이

看雲耽靜闃(간운탐정격) 구름을 보며 고요함 즐겨며

對巘喜崢嶸(대헌희쟁영) 가파른 산봉우리 대하니 기쁨 더하고

獨坐多般味(독좌다반미) 홀로 앉아서 즐기는 흥취 만끽하니

閒居十分淸(한거십분청) 한가하게 살며 모든 게 맑기만 한데

回頭洞門外(회두동문외) 돌아보면 동구 밖에 사는 이들

誰識此間情(수식차간정) 누가 알 텐가 이 삶들의 정취를

 

만제(晚題 : 늘그막에 짓다)

小惠猶知感(소혜유지감) 작은 은혜에도 감격하여

方冬如挾纊(방동여협광) 마치 겨울에 솜옷 입은 듯하고

況乎得其心(황호득기심) 하물며 그 마음을 얻는다면

可令死長上(가령사장상) 임금 위해 목숨을 바칠 것 아닌가

 

仁者固無敵(인자고무적) 어진 사람은 진정 적이 없나니

文王起百里(문왕기백리) 문왕은 땅 백리로 일어나지 않았던가

我願君王心(아원군왕심) 나는 바라는 건 우리 임금 마음도

一欲止所止(일욕지소지) 당신이 계실 자리 놓치지 않았으면 싶다네

 

今古豈異時(금고기이시) 지금과 예는 시절만 다를 뿐

五百期可逢(오백기가봉) 오백 년 기약하면 만날 수 있다네

天高白日晚(천고백일만) 하늘은 높고 해는 점점 져 가는데

誰爲我先容(수위아선용) 날 추천해 줄 이 누구란 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