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차한잔의 여유

사계 김장생 시 2수(沙溪 金長生 詩 2首)

김장생(金長生. 1548∼1631) 조선 중기의 대표적 학자이자 문신으로 자는 희원(希元) 호는 사계(沙溪), 시호는 문원(文元)이다.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서울 출신으로 할아버지는 지례현감 호()이고, 아버지는 대사헌 계휘(繼輝)이며, 어머니는 평산 신씨(平山申氏)로 우참찬 영()의 딸이다.

아들이 집()이다.1560년 송익필(宋翼弼)로부터 사서(四書)와 근사록(近思錄) 등을 배웠고, 20세 무렵에 이이(李珥)의 문하에 들어갔다.

1578(선조 11)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창릉참봉(昌陵參奉)이 되고, 1581년 종계변무(宗系辨誣)의 일로 아버지를 따라 명나라에 다녀와서 돈녕부참봉이 되었다. 그 뒤 순릉참봉(順陵參奉)과 평시서봉사(平市署奉事)를 거쳐 활인서(活人署사포서(司圃署사옹원(司饔院) 등의 별제(別提)와 봉사(奉事)가 내렸으나 모두 병으로 나가지 않았다. 그 뒤에 동몽교관(童蒙敎官인의(引儀)를 거쳐 정산현감(定山縣監)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호조정랑이 된 뒤, 명나라 군사의 군량 조달에 공이 커 종친부전부(宗親府典簿)로 승진하였다. 1596년 한 때 연산으로 낙향했는데, 단양·양근 등지의 군수와 첨정(僉正익위(翊衛)의 관직이 거듭 내려졌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이듬해 봄에 호남 지방에서 군량을 모으라는 명을 받고 이를 행해 군자감첨정(軍資監僉正)이 되었다가 곧 안성군수가 되었다.

1601년 조정에서 주역구결(周易口訣)의 교정에 참가하도록 불렀으나 병으로 나가지 못하였다. 이듬 해 청백리로 올려졌으나, 북인이 득세하는 것을 보고 1605년 관직을 버리고 연산으로 다시 내려갔다. 그 뒤에 익산군수를 지내고, 1610(광해군 2) 회양·철원부사를 역임하였다.

1613년 계축옥사 때 동생이 연좌되었다가 무혐의로 풀려나자, 관직을 버리고 연산에 은둔해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그 뒤 인조반정으로 서인이 집권하자 75세의 나이에 장령으로 조정에 나갔으나, 곧이어 사업(司業)으로 옮겨 원자보도(元子輔導)의 임무를 겸하다가 병으로 다시 낙향했다.

이듬해(李适)의 난으로 왕이 공주로 파천해오자 길에 나와 어가를 맞이하였다. 난이 평정된 뒤 왕을 따라 서울로 와서 원자보도의 임무를 다시 맡고 상의원정(尙衣院正)으로 사업(司業)을 겸하였다. 집의(執義)를 거친 뒤 낙향하려고 사직하면서 13가지의 중요한 정사(政事)를 논하는 소를 올렸다. 그 뒤 좌의정 윤방(尹昉), 이조판서 이정구(李廷龜) 등의 발의로 공조참의가 제수되어 원자의 강학을 겸하는 한편, 왕의 시강과 경연에 초치되기도 하였다.

1625년에 동지중추부사를 임명받았으나 이듬해 다시 사직해 행 호군(行護軍)의 산직(散職)으로 낙향한 뒤 이이·성혼(成渾)을 제향하는 황산서원(黃山書院)을 세웠다. 같은. 해 용양위부사직으로 옮기고, 1627년 정묘호란 때 양호호소사(兩湖號召使)로서 의병을 모아 공주로 온 세자를 호위하였다. 곧 화의가 이루어지자 모은 군사를 해산하고 강화도의 행궁(行宮)으로 가서 왕을 배알 하고,, 그 해 다시 형조참판이 되었다. 그러나 한 달 만에 다시 사직해 용양위부호군으로 낙향한 뒤 1630년에 가의대부로 올랐으나, 조정에 나가지 않고 줄곧 향리에 머물면서 학문과 교육에 전념하였다.

늦은 나이에 벼슬을 시작하고 과거를 거치지 않아 요직이 많지 않았지만, 인조반정 이후로는 서인의 영수격으로 영향력이 매우 컸다. 인조 즉위 뒤에도 향리에서 보낸 날이 더 많았지만, 그의 영향력은 이이의 문인으로 줄곧 조정에서 활약한 이귀(李貴)와 함께 인조 초반의 정국을 서인 중심으로 안착시키는 데 결정적인 구실을 하였다. 학문과 교육으로 보낸 향리 생활에서는 줄곧 곁을 떠나지 않은 아들 집의 보필을 크게 받았다.

그의 문인은 많은데,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이유태(李惟泰강석기(姜碩期장유(張維정홍명(鄭弘溟최명룡(崔命龍김경여(金慶餘이후원(李厚源조익(趙翼이시직(李時稷윤순거(尹舜擧이목(윤원거(尹元擧최명길(崔鳴吉이상형(李尙馨송시영(宋時榮송국택(宋國澤이덕수(李德洙이경직(李景稷임의백(任義伯) 등 당대의 비중 높은 명사를 즐비하게 배출하였다.

아들 집도 문하이지만, 문인들 사이에는 그를노선생’, 아들을선생으로 불렀다고 한다. 학문적으로. 송익필·이이·성혼 등의 영향을 함께 받았다.

하지만 예학(禮學) 분야는 송익필의 영향이 컸으며, 예학을 깊이 연구해 아들 집에게 계승시켜 조선 예학의 태두로 예학파의 한 주류를 형성하였다. 인조. 즉위 뒤 서얼 출신이던 송익필이 아버지 사련(祀連)의 일로 환천(還賤 : 천인으로 되돌아감)되자 억울함을 풀어주기 위해 같은 문하의 서성(정엽(鄭曄) 등과 신변사원소(伸辨師寃疏)를 올렸다. 또한,이이와 성혼을 위해 서원을 세우고 1 8000여 자에 달하는 이이의 행장을 짓기도 하였다. 스승 이이가 시작한 소학집주를 1601년에 완성시켜 발문을 붙였는데, 소학에 대한 관심은 예학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저서로는 1583년 첫 저술인 상례비요(喪禮備要) 4권을 비롯, 가례집람(家禮輯覽) 전례문답(典禮問答) 의례문해(疑禮問解) 등 예에 관한 것이 있고, 근사록석의(近思錄釋疑) 경서변의(經書辨疑)와 시문집을 모은 사계선생전서가 전한다.

1688년 문묘에 배향되었으며, 연산의 돈암서원(遯巖書院)을 비롯해 안성의 도기서원(道基書院) 10개 서원에 제향 되었다.  沙溪는 禮學의 태두이자 東方 또는 東國 18현의 한 사람으로 겨레의 숭앙을 받고 있으며 그의 시에 대하여는 기록으로 많이 남아있지 않아 후학들이 찾아야 할 부분이다. 여기 소개하고자 하는 시는 가야산 관련2수가 전해지는데 가야산을 오르다 친구 윤정경을 우연히 만난 기쁨을 읊고, 또 한수는 구성(지금의 지례)에서 현을 다스린 조부를 사모하는 마음을 담고 있다. 그리고 친부가 평안관찰사로 있을 때 석담을 찾아 율곡에게 배우고 다시 돌아갈 때 율곡이 지어준 시를 살펴보고자 한다. 관련 시들을 행서체로 자서해 보았다

 

가야산봉윤정경(伽倻山逢尹正卿 : 가야산에서 윤정경을 만나다) 

해후가야산(邂逅伽倻山) 가야산에서 만났는데

행장대우흔(行裝帶雨痕) 비를 맞은 자취 있네

상봉방일소(相逢方一笑) 서로 만나 막 한번 웃고는

상대각망언(相對却忘言) 서로 대면하여 말을 잊었네

 

재가야산(再伽倻山 : 다시 가야산에서)     - 김장생

고사증유이십추(古寺曾遊已十秋) 옛 절에 노닌 지 이미 십 년

한재독좌사유유(寒齋獨坐思悠悠) 찬방에 홀로 앉아 싶은 생각에 잠기는데

고산춘색혼여구(故山春色渾如舊) 옛 산 봄빛은 온전히 예와 같은데

회수구성쌍체류(回首龜城雙涕流) 고개 돌려 *구성을 바라보니 두 줄기 흐르는 눈물

* 구성은 지금의 경북 지례이다..

 

제자를 보내며(율곡이 사계에게)                - 율곡 이이

천리상종적막빈(千里相從寂寞濱) 천리 길 적막한 물가 찾아와

동운계월반이신(洞雲溪月伴怡神) 골짜기 구름 시내 달에 함께 수양은 하였네

귀시수탁오감괴(歸時垂吾堪愧) 돌아갈 때 자루 비니 너무도 부끄러워

별후수교괄목빈(別後須敎刮目頻) 훗날 부디 괄목할 기회 갖도록 하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