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차한잔의 여유

매월당 김시습 야조(梅月堂 金時習 野鳥)

매일 오르는 영종도 백운산은 연초록 산색이 조금씩 짙어지며 하루가 다르게 푸른 숲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

고라니가 뛰는 모습을 보는 것은 흔한 일상이 되었고 나뭇가지에 잠든 새는 내 발자국 소리에 놀라 푸드덕 날아간다. 하산 길에는 작은 새들이 분주히 날아다니며 새소리로 온 산을 가득 채우고 있다.

이른 새벽 고요한 산을 찾았다가 요란한 새소리에 쫓겨나는 신세가 되었다.

 

새를 자세히 관찰해 보면 공룡의 모습과 흡사하기에 새의 조상은 공룡기원설이 사실로 판명 되고 있다.

크기가 작은 공룡은 살아남기 위해 나무 위로 올라갔으며 거기에는 날 곤충 등 먹이가 풍부했기에 멀리 있는 곤충까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앞발은 날개로 진화되었다고 한다.

약 1억 5천만년 전 존재한 시조(始祖)새 화석의 발견으로 파충류와 조류, 또는 공룡과 새의 연결 고리를 풀게 되었으며 이들은 새 이면서 공룡의 특징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수년 전 주말농장 근처에 보기 드문 새를 보았는데 나중에 확인해 보니 청딱따구리였다. 점점 사라져 가는 새를 보는 것은 길조(吉鳥)를 만난 것처럼 나를 기쁘게 한다.

 

이어서 함께 살펴볼 한시(漢詩)는 매월당(梅月堂) 선생의 야조(野鳥)로 풍진 세상을 등지고 전원생활을 염원하는 뜻이 담겨있기에 이를 행서체로 자서(自書) 해 보았다.

 

야조(野鳥 : 산 새)

綿蠻枝上鳥(면만지상조) 나무 가지 위의 새 지저귀는 소리

隨意便能鳴(수의편능명) 제 뜻대로 거침없이 울어댄다.

適志從吾好(적지종오호) 뜻이 맞으면 내 기분대로 따르고

安心只欲平(안심지욕평) 마음의 안정은 단지 평온을 원함이라.

驕榮爭似隱(교영쟁사은) 교만과 영화로움은 어찌 은거함과 다투랴

苦學不如耕(고학불여경) 고생스레 배움이 어찌 농사만 하리.

詩酒消閑日(시주소한일) 시와 술로 한가한 날 보내며

陶然送平生(도연송평생) 기분 좋게 한평생 보내고 싶을 뿐.

 

(주변에서 만난 산새)

지난 겨울 눈 속에서 어렵게 찾은 도토리를 물고 있는 수꿩(장끼)
물까치는 몸길이는 약 37 cm 정도로 머리와 윗목은 검정색이고 날개와 꽁지는 하늘색이다. 나머지 깃털은 잿빛이 도는 갈색이고 아랫면은 색이 더 연하다. 멱은 흰색이다. 꽁지는 길고 끝이  凸  모양으로 튀어나와 있다. 산지 숲이나 평지 숲에서 지내다가 겨울에는 도심까지 무리지어 내려와 생활하는 흔한 텃새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번식한다.
직박구리는 참새목 직박구리과의 텃새로 우리나라의 전역에서 관찰되는 흔한 새다. 한국, 일본, 타이완 및 필리핀 등에서 번식하며, 2000년대 이후에 개체수가 많이 증가하였으며 산림에서 가장 시끄러운 새 중의 하나이다. 심지어 도심에서도 흔히 번식한다.
어치는 까마귀과에 속하는 전체길이 33㎝의 중형조류다. 유라시아대륙의 온대지방을 중심으로 번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전역에 번식하는 텃새이다. 온몸이 포도빛이 도는 갈색이고 머리는 흰 바탕에 검은 가로무늬가 있다. 눈 주위와 턱선은 흑색이며 멱·허리·아랫배는 흰색이다. 날개는 검은색이나 일부분은 흰색이다.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림 등 다양한 환경의 숲속에서 생활한다. 번식기에는 산림 속에서 비교적 조용히 지낸다. 주로 침엽수 가지에 나뭇가지로 둥지를 틀고 4∼6월에 한배에 4∼8개를 낳아 16∼17일간 포란한 뒤 부화되면 19∼20일간의 육추기간을 지나 둥우리를 떠난다. 부화된 새끼들은 송충이·거미류·청개구리와 여치 등을 먹이로 키운다. 그러나 어미 새는 도토리를 즐겨 먹으며 그 밖의 나무열매도 곧잘 먹는다. 어치는 큰부리까마귀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림성 조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