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변에 활짝핀 꽃들의 향연(6) 주변에 핀 꽃들의 이름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메밀꽃 달맞이꽃 메꽃 메리골드,천수국 수련 용담 감국 피마자(아주까리)꽃 과꽃 쑥갓 분꽃 덴마크 무궁화꽃 확대 봄의 전령사 산수유 산괴불주머니 서양민들레 박태기나무 꽃(일명 밥티나무) 은방울 꽃 큰가시엉겅퀴 지느러미엉겅퀴..줄기에 지느러미처럼 가시가 있다. 감자꽃 망초(밭을 망친다고 해서붙혀진 이름? 국화과 대표적 잡초) 대만 카오슝거리에서..(이름은 ?) 복사꽃 배풍등 뒷산에도 배풍등이 있네요.. 눈내려도 붉게 남아있다 해서 설하홍(雪下紅) 좀작살나무 열매 고마리 천남성 열매..맹독식물 넝쿨콩꽃(울타리콩) 털별꽃아재비..(한해살이 국화과 잡초) 더보기
울금 재배 울금은 수년간 메스컴에 자주 소개되면서 일반인들에게 많이 알려진 식물이다. 카레의 원료이자 노인성 치매발생을 크게 줄이는 효과와 항암, 항염, 항산화 작용이 매우 탁월할 뿐만 아니라 비만, 뇌졸증의 예방에도 좋은 효능을 지니고 있다. 항균작용이 뛰어난 커큐민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결과라 하겠다. 울금은 작은 텃밭에 3년차 재배하고 있으며 화단이 있는 가정집에서도 쉽게 재배가 가능하고 병충해에 강한 식물이지만 추위에는 약하다. 4월 중순이후 충분하게 시비한 다음 비닐멀칭 후 종구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 50Cm 간격, 2~3Cm깊이로 심는다. 토양이 발아하기 위한 적당한 온도가 지속 유지될 때 싹이 올라오는데 보통 정식한지 1개월 이상이 걸리기도 한다.비옥한 토양에 둔턱을 쌓아 물 빠짐이 원할 해야 하고 일.. 더보기
주변에 확짝핀 꽃들의 향연(5) 지난해 세곡동 주말농장 주변에서.... 추억들이 새롭다. 아피오스(인디언감자)꽃.. 특용작물란에 자세히 소개할 예정이다 물봉선. 9월부터 습지에서 쉽게 볼수있으며 독성이 있다. 노랑물봉선 돼지감자꽃(뚱단지)구근은 당뇨에 좋은 인슐린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채밀중인 꿀벌 참취꽃 채송화 괭이밥 수세미 메밀꽃 벌개미취 구절초 울금꽃... 은은한 향기가 오래간다 누리짱나무 꽃 민들레 홀씨 봉숭아 둥근잎유홍초 덴마크 무궁화.. 붉은색도 있다. 꽃잔디 고마리 갓꽃 조팝나무꽃 루드베키아 더보기
주변에 활짝핀 꽃들의 향연(4)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들 자주달개비 초롱꽃 금계국.. 노란코스모스와 닮았다 좀처럼 보기 힘들다는 고구마꽃 수국(불두화) 낮달맞이꽃 부추 능소화,양반꽃. 요즘(7~8월) 올림픽대로변에 만개해 있다 함박꽃.. 산행중 우연히 발견 수국 개화전 모습 겹벚꽃 튤립 할미꽃(백두옹) 싸리꽃 금불초 범의꼬리 상수리, 참나무..임진왜란때 피난시절 선조가 도토리묵을 항상(常) 수라상에 올려라고 해서 상수리라 불려졌다고 한다 꼬리풀 달개비 꽃(닭의장풀) 흔한풀로 잎은 나물로 꽃은 비빔밥 재료나 말려서 차로이용한다. 맥문동 화분에 같이 심어 함께핀 새깃,둥근잎 유홍초(2014.8.27) 접시꽃 다알리아 천사의 나팔(엔젤트럼펫) 닥풀 꽃무릇(석산, 상사화) 협죽초,풀협죽도 주목 열매 구절초 더보기
주변에 활짝핀 꽃들의 향연(3) 8월 중순 국회의사당내 심어놓은 조경화와 주변에서 마주친 꽃들 란타나 무궁화 배롱나무(국회의사당 사랑재) 등근잎나팔꽃 땅콩 결명자 9월에 핀 명자꽃(산당화) 명자열매.. 신맛이 강하지만 효소로 만들어 차로마실 수 있다. 맨드라미 익모초.. 여성한테 좋다고 해서(益母) 붙여진 이름 옥잠화 흰독말풀..독성이 있다 설악초 제라늄 물봉선 칸나 고수 개똥쑥 야콘 장미 더보기
주희 관서유감(朱熹 觀書有感) 주희(1130~1200) 선생은 남송시대(南宋時代) 사람으로 성리학의 대가이다. 철학은 물론, 교육, 역사학에도 절대적인 위상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후대 유학자들은 공자에 버금간다 하여 朱子라는 존칭으로 불려지고 있다.  그의 대표적인 시 관서유감 2수를 行書로 自書해 보았다. 관서유감(觀書有感 : 책을 읽는 감흥)  二首      - 주희(朱熹) 其一. 半畝方塘一鑑開(반무방당일감개) 반이랑 방정한 연못이 거울처럼 열리니天光雲影共徘徊(천광운영공배회) 하늘빛과 구름 그림자 이 연못 안에 떠 있네.問渠那得淸如許(문거나득청여허) 묻노니 이 연못이 이리 맑은 까닭을爲有源頭活水來(위유원두활수래) 샘에서 맑은 물이 끊임없이 흘러나오기 때문이라네..  (독서의 즐거움과 학문의 근원을 맑은 샘에서 흘러나오는 물에 비.. 더보기
주변에 활짝핀 꽃들의 향연(2) 이름을 지어주기 이전엔 무명꽃으로 피고 지고 했겠지.... 돌단풍 계요등.. 닭오줌냄새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이화(배꽃) 금낭화 조팝나무꽃 라일락 등나무 사위질빵 모란 서양등골나물. 계곡을 중심으로 번식력이 강해 시급 제거해야 할 외래식물 매발톱꽃 병꽃 백일홍.. 꽃안에 또 핀 꽃색은 노란색이다. 풍접초(족두리꽃) 해국..바닷가에서 많이 피어난다. 나비바늘꽃 분홍바늘꽃 용담 더보기
주변에 활짝핀 꽃들의 향연(1) 요즘 집을 나서다 주변을 살펴보면 활짝핀 꽃들이 눈과 마음을 기쁘게 한다. 무심코 지나치지 않는다면 한번쯤 정겨운 마음으로 눈길을 주는 것도 괜찮다. 나름 예쁜 꽃말과 함께 주어진 이름을 찾아가며 꽃들의 향연을 느껴보자. 지난 봄서부터 직접 폰카로 찍은 사진을 올려본다. 겹삼잎국화 백도라지 참나리꽃 부용 참깨꽃 백일홍나무(배롱나무) 금불초 칡꽃 과꽃 백련 꽃무릇(상사화,석산) 텃밭에서 찍은 청경채 꽃 명자꽃(산당화) 봄을 알리는 복수초... 눈속에 피어나는 복수초..너를 마주하려면 차디찬 대지에 무릎을 꿇어야만 하니 인간에 대한 복수를 기대하는 복수초.. 다들 복수라는 이름에서 그런 의미를 상상하기 쉽지만 아니다 복수(福壽)는 축복과 장수를 기원하는 꽃이름이다. 복사꽃 내년봄에 다시 찾아올 개나리와 벚꽃 더보기
박의중 유거즉사(朴宜中 幽居卽事) 貞齋(정재) 박의중(1337~1403)은 고려말, 조선초의 명신이다. 특히 성리학의 대가로 그가 지은 문장들은 우아하면서도 기품이 넘쳐난다. 그의 대표적인 시 한수를 적어봤다. 幽居卽事(유거즉사: 한가로이 살아감) - 朴宜中(박의중) 幽居卽事少人知(유거즉사소인지) 한가롭게 살아가니 아는 이 적고 獨愛吾廬護弊籬(독애오려호폐리) 홀로 울타리 두른 오두막을 사랑한다네 朝望海雲開戶早(조망해운개호조) 아침에는 바다 구름 이는 모습 보려 일찍 문 열고 夜憐山月下簾遲(야연산월하렴지) 저녁에는 산에 뜬 달 보려 발을 늦게 내린다오 興來邀客嘗新釀(흥내요객상신양) 흥겨우면 친구 불러 새로 빚은 술 마신다 吟就呼兒政舊詩(음취호아정구시) 시 읊을 땐 아이 불러 지은 시를 고쳐 쓰게 하네 因病抱關身己老(인병포관신기노) 실없는 .. 더보기
더위를 잊게하는 무명폭포와 소협곡(동영상) 더위가 맹위를 떨치는 요 며칠 전 절 친지인과 함께 서울에서 1시간 거리에 있는 계곡을 찾았다. 동네 사람들조차도 잘 모르는 심곡에 있는 작은 무명 폭포. 계곡 위로 오염원이 없어 1 급수에만 서식하는 버들치만 유유히 넘나드는 곳이다. 혹시 몰지각한 사람들한테 알려질까 두렵다. 자연은 후손을 위해 잠시 빌려 쓰는 것이라고..나 또한 세수하는 것조차도 조심스럽다. 계곡 바깥보다 기온도 10℃이상 낮다. 폭포따라 소협곡도 이어져 멋진 풍광을 선사해 준다. 잠시 더위를 식히는 차원에서 시원한 폭포소리를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