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求古深論

농암 김창협(農巖 金昌協) 세숫대야 명문(銘文)

김창협(金昌協, 1651~1708) 경기도 과천 출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화(仲和), 호는 농암(農巖)·삼주(三洲)이며, 1669년(현종 10) 진사시에 합격하고, 1682년(숙종 8)증광문과에 전시장원으로 급제하여 전적에 출사하였다. 이어서 병조좌랑·사헌부지평·부교리 등을 거쳐 교리·이조좌랑·함경북도병마평사(咸鏡北道兵馬評事)·이조정랑·집의·동부승지·대사성·병조참지(兵曹參知)·예조참의·대사간 등을 역임하고, 명에 의해 송시열(宋時烈)의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를 교정하였다.

청풍부사로 있을 때 기사환국으로 아버지가 진도에서 사사되자, 사직하고 영평(永平 :지금의 경기도 포천시)에 은거하였다. 1694년 갑술옥사 이후 아버지가 신원됨에 따라 호조참의·예조참판·홍문관제학·이조참판·대제학·예조판서·세자우부빈객·지돈녕부사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직하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그가 남긴 문장은 단아하고 순수하여 구양수(歐陽修)의 정수를 얻었으며, 그의 시는 두보(杜甫)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대로 모방하지 않고 고상한 시풍을 이루었다. 특히, 문장에 능하고 글씨도 잘 써서 「문정공이단상비(文貞公李端相碑)」·「감사이만웅비(監司李萬雄碑)」·「김숭겸표(金崇謙表)」·「김명원신도비전액(金命元神道碑篆額)」 등의 작품을 남겼다.

저서로는 농암집(農巖集) 주자대전차의문목(朱子大全箚疑問目) 논어상설(論語詳說) 오자수언(五子粹言) 이가시선(二家詩選) 등이 있고, 편저로는 강도충렬록(江都忠烈錄) 문곡연보(文谷年譜) 등이 있다. 사후 숙종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양주의 석실서원(石室書院) 영암의 녹동서원(鹿洞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농암집(農巖集) 제26권 찬명(贊銘) 잡기명(雜器銘)에 실린 내용으로 아침에 세수를 하면서 거울을 바라보며 반드시 새겨야할 요소로 自書와 함께 해설을 담아 보았다.

 

마음씻기(세숫대야에 대한 경계)              - 김창협(金昌協)

 

面有一日而不頮者乎(면유일일이부회자호) 얼굴을 하루라도 아니 씻는 이 있으랴

至於心而終身垢穢(지어심이종신구예) 허나 그 마음속이 종신토록 더럽다면

小察而大遺(소찰이대유) 작은 건 살피면서 큰 것은 내버리며

輕內而重外(경내이중외) 내면은 경시하고 외면을 중시함이니

嗚呼多見其蔽也(오호다견기폐야) 어허, 이는 대단히 잘못된 게 아니겠나

 

(해설)

농암이 49세 때인 1699년(숙종25) 6월 경기도 광주의 요소(窯所)에서 선고(先考) 묘지명의 지석(誌石)을 굽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도공(陶工)에게 틈틈이 몇 종의 기명(器皿)을 만들어 줄 것을 요청하고 그것에 대한 명문(銘文)을 지었는데, 윗글은 그중 하나인 세숫대야에 대한 명문이다. 그는 이 외에 밥그릇, 술 단지, 등잔, 필통, 연적에 대한 명문도 지어 옛사람들이 기물을 통해 경계했던 뜻을 붙였다. 얼굴을 하루라도 씻지 않는 사람은 없다. 더럽지 않아도 자고 일어나면 씻고, 외출했다 돌아오면 씻는다. 그런데 마음에 더러움이 낀 것에 대해 사람들은 무심하다.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닦을 생각도 하지 않는다. 그것도 하루 동안 쌓인 더러움이 아니라 종신토록 쌓인 더러움인데도 말이다. 마음에서 남을 미워하는 악이 자라도 도려낼 줄 모르고, 남을 미워하느라 만신창이가 되어도 치료할 줄을 모른다. 또한, 마음을 가꿀 수 있는 좋은 글을 읽는 것도 인색하다. 이는 얼굴이라는 외면은 중시하면서 마음의 내면은 경시하는 것이니 잘못되어도 한참 잘못된 것이다. 세면대나 거울 등에 옛사람들이 했던 것처럼 명을 써 붙여 스스로를 경계하는 문화가 되살아났으면 좋겠다. 나 같이 머리 나쁜 사람도 그 명을 볼 때마다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반성할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말이다.

(해설 : 이은영 성균관대 초빙교수 수필가)